211page

효종의 북벌정책과 나선정벌의 역사적 성격에 대한 재검토 218 군사연구 제129집 이다. 7) 그 이유는 조선의 파병이 자주적 출병이 아닌 청의 요청에 의해 강제적으 로 실시되었고 8) 실제 전투기간이 짧았으며 파병인원이 소수인 점 때문에 연구자 들의 관심을 끌지 못하였을 것으로 생각한다. 이에 필자는 기존에 각기 따로 연구되어 왔던 효종의 북벌정책과 그가 실시한 군사력 강화, 그리고 나선정벌의 실상을 정확하게 파악하고자 한다. 이는 효종이 즉위한 이후 많은 노력으로 군사력을 강화하였지만 나선정벌에 참가한 군사들의 실상을 통해 효종이 주장한 북벌정책이 허구임을 밝힘과 동시에 그동안 과대평가 되어 오던 나선정벌에 대해 정확한 설명이 가능하리라 생각한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효종이 즉위한 이후 정국동향과 효종이 생각했던 북벌정 책의 진위여부를 살펴봄으로서 효종의 진정한 의도가 무엇이었는지 파악하겠다. 3장에서는 효종의 의중대로 군사력이 강화된 모습을 중앙군과 지방군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4장에서는 나선정벌을 재구성하면서, 3장에서 살펴본 강화된 군사력과 실제 전투에 참가한 군사들이 상관 없음을 입증하며 나선정벌의 정확한 실상을 설명하겠다. 이러한 서술을 뒷받침하기 위한 사료로는 관찬사료인『인조실록』과『효종실 록』을 주로 이용하고, 연대기사료에서 발견할 수 없었던 내용을 보완하기 위해 1차 나선정벌의 기사가 실려 있는『備邊司謄錄』과 2차 나선정벌의 기사가 기록되어 있는『北征日記』를 살펴보겠다.9) 특히『북정일기』는 2차 나선정벌시 咸鏡北道 7) 현재까지 나선정벌에 대한 연구성과는 다음과 같다. 박태근,「조선군의 흑룡강 출병(1654∼1658)」,『한국사론』9, 국사편찬위원회, 1981. 반윤홍,「비변사의 나선정벌 주획에 대하여-효종조 영고탑 파병절목을 중심으로」, 『한국사학보』11, 고려사학회, 2001. 서인한,「조선의 나선정벌군 파병」,『한민족 역대 파병사』,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2. 계승범,「나선정벌과 신유의 북정록」,『군사사 연구총서』5,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8. 8) 조선왕조 500년간 중국의 요청에 의해 단행되었던 해외 파병은 여러 차례 있었다. 특히 병자호란 이후 청은 8번의 파병을 요청하였는데, 조선은 1번을 제외하고 모두 응했고 나선정벌의 파병은 마지막 두차례에 해당된다. 조선의 해외 파병 사례에 대해서는 계 승범, 위의 논문, 5∼17쪽 참고. 9)『북정일기』는 1980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현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국역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