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4page

전 쟁 사 군사연구 제129집 189 한국군이 창군 불과 20년 만에 4만이 넘는 병력을 파병하여 독자적으로 작전 을 수행한 것은 놀라운 일이다. 또한 작전수행에 있어 미군과 견줄 수 있을 정도 의 효율성을 나타내었다는 것은 한국군이 파병에 앞서 충분히 조직되고 훈련된 군대라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작전개념에 있어서 한국군은 독립적인 작전권을 바탕으로 미군의 접근과는 다른 독창적인 접근방식을 통하여 베트남전쟁에 임했다. 4) 본고에서는 베트남전쟁에서 한국군의 대게릴라전의 효과에 대해 고찰해 보 겠다. 이를 위해 기본적으로 미군의 작전개념과 비교를 통해 한국군의 대게 릴라전이 어떠한 차이점이 있었는지를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군의 대 게릴라전이 어떻게 수행되었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특히, 베트남전쟁 시 한 국군 작전의 핵심적 개념이었던 중대전술기지를 중심으로 한국군의 대게릴라 전을 고찰하고자 한다. Ⅱ. 대게릴라전 수행개념 1. 베트남전쟁 시 미군의 대게릴라전 미군은 베트남 내에서의 민주주의 정권을 지키기 위하여 베트남전쟁에 참전 했다. 미군은 이 전쟁에서 남베트남 제1의 우방국으로서 남베트남 민주정권 유지 및 군사력 형성과정에 있어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전쟁이 장기간 지속되 면서 미군은 많은 우방 국가의 지원과 참전을 장려했고, 5) 그러한 세계적인 지원 하에 남베트남 민주정부가 자력으로 북베트남의 공산세력을 견제할 수 있도록 성장하기를 기대했다. 4) 한국군은 미군이 대대급 이상으로 주둔지를 편성했던 것과 달리 마을에 가까이 중대단위 로 기지를 편성하여 효율적으로 베트콩과 주민을 분리하고 주둔지의 피해를 최소화했다. 5) 미군은 전쟁의 부담감을 경감시키고, 자유 우방국들의 지원을 바탕으로 전쟁의 명분을 얻기 위하여 1961년부터 연합군 참전정책(More Flags Policy)을 구상하였으며, 1964년 5월 9일 한국을 포함한 25개 자유우방 국가에게 비전투부대 파견을 통한 지원을 호소하 였다. 이는 군사적 측면보다 정치적 측면이 강한 정책이었다.(유제현,『월남전쟁』(서울: 도서출판 한원, 1992), p.14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