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9page

군 역 사 및 역 사 일 반 군사연구 제129집 153 서도가 붙어 있는 상태이며 서도의 북단에 솟은 탕건봉도 눈으로 관측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11) 이는 울릉도와 독도가 오래전부터 함께 인식되었음을 보여주는 실제적 사례로서, 독도가 지리적으로, 국제해양법상으로 한국의 영토임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할 수 있다. 2. 독도의 인문지리 독도는 울릉도의 부속 섬으로 울릉도의 인문지리와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 다. 울릉도에 최초로 사람이 거주하기 시작한 것은 기원전 1000~300년의 청동 기시대 또는 300~1년의 철기시대 전기로 추정하고 있다.12) 독도의 역사적 연원을 알아보기에 앞서 독도라는 명칭에 대해 살펴보면, 독도의 명칭에 대한 연구는 일찍이 이병도(李丙燾)에 의해 연구되었다. 13) 이 연구에 따르면 독도의 칭호는 대한제국기부터 알려진 이름으로 그 이전에는 우산(芋山)으로 불렸다. ‘우산’은 본래 모도(母島)인 울릉도의 옛 지명으로 그 후 ‘우산’외에 우릉(芋陵), 울릉(蔚陵), 울릉(鬱陵), 무릉(武陵), 무릉(茂陵) 등 의 이칭을 갖게 되었지만, ‘우산(于山)’. ‘우산(芋山)’은 속도(屬島)인 독도의 별칭이 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우산’이라는 칭호에 대해 이병도는 그 유래를 본토내에서 울릉도 또는 독도와의 왕래가 편리했던 강원도 울진군으로부터 비롯된 것으 로 보았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고구려 시대의 ‘우진야’ 그 후칭인 울진이 울 릉도와 왕래하는 출입항이 되었기 때문에 ‘우진야’의 ‘우’와 울진의 ‘울’이 울 릉도에 건너가 ‘于山’, ‘芋陵’, ‘蔚陵’, ‘鬱陵’ 등의 명칭이 되고 또 ‘于山’. ‘芋山’ 의 명칭은 울릉도의 속도로 그 곳과의 왕래가 잦은 현재의 독도에 가서 붙게 되었다고 설명했다.14) 따라서 앞으로 살펴보게 될 삼국시대부터 대한제국기 까지의 독도에 대한 역사적 문헌에 대한 내용에 있어서는 앞에서 언급한 11) 국토해양부 국토정보지리원, 위의 책, 19쪽. 12) http://www.ulleung.go.kr/ 13) 이병도,「獨島의 名稱에 대한 史的 考察:于山․竹島 各稱考」,『불교사논총』(1963). 이 논문은 독도학회 편,『독도연구총서 10:한국의 독도영유권 연구사』(독도연구보전학회, 2003)에 다시 전재되었다. 14) 이병도, 위의 글, 38~39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