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4page

만주지역 민족운동사 연구의 동향과 과제 136 군사연구 제129집 그런데 현재도 당시를 기억하고 있는 많은 ‘조선족’들이 생존해 있고 한인마을 의 현장 보존 상태가 일정하게 당시의 형태를 유지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에 대한 현장조사나 중국측 기록의 검토 및 생존자들에 대한 구술 자료의 확보 등이 이루 어지면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가 보다 강화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넷째, 만주지역 항일유적에 대한 실태조사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으며, 사료조사 의 범위가 당안자료에 대한 조사 및 검토와 활용 단계를 넘어 지역별로 일상사나 독립운동사와 관련된 구술 작업까지 진행되고 있다는 점은 발전적인 측면이라고 생각된다. 그리고 이러한 일련의 작업은 향후 일제시기 항일독립운동사의 구체적 실상을 보다 면밀하게 파악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원고접수일 : 2010. 4. 27, 심사완료일 : 2010. 5. 23, 게재확정일 : 2010. 6.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