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0page

만주지역 민족운동사 연구의 동향과 과제 132 군사연구 제129집 하였으며, 일제의 금융정책에 대한 한인사회의 저항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57) 대체로 이 연구는 일제의 만주지역 금융정책에 대한 연구가 희소한 상황에서 간 도에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던 일제 금융자본의 침략적 전개과정의 몇 가지 문 제에 대해 기초적인 연구 성과를 거둔 것으로 생각된다. 1920년대 전반기와 후반기에 만주지역에서 전개되었던 한인사회의 자치운동의 성격 및 만주사변 이후 국내언론에서 제기되었던 자치문제에 대한 논의에 대해 분석한 연구가 진행되기도 하였다. 이 연구는 궁극적으로 중ㆍ일 양국의 부당한 박해 속에서 한인사회가 심각한 이중적 착취구조에 직면하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한편, 한인사회는 이러한 현실의 문제를 타계 위한 방편의 하나로 ‘자치문제’를 지속적으로 제기ㆍ논의하고 있었다고 보았다. 58) 또한 만주사변 이후 한인들의 비 참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조직되었던 재만동포협의회의 결성과 활동에 대해 살 펴본 연구가 진행되기도 하였다. 59) 이밖에 만주사변 이후의 재만 한인들의 사회 경제적 상황과 관련해서는 1936년에 만주국 실업부 임시조사국에서 실시한 간도 성 연길현 양성촌 B둔(상촌)의 실태조사의 분석을 통해 파악한 연구가 있으며, 60) 심양과 안동의 도시화민 재만 한인의 사회적 실태에 대해 연구도 진행되었다. 그 런데 도시화와 관련된 연구에서는 심양과 안동 등의 경우를 통해서 볼 때 한인들 의 도시로의 이주는 도시구조의 변화와 연동되며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었지만, 대체로 그 변화는 위생시설 등의 부족 등과 같은 열악한 주거환경과 공권력의 일 방적 철거 및 부당한 임금차별 등이 일상화되어 있던 근대도시 속의 식민지성을 들어내고 있었다고 보았다. 61) 만주사변이 발발하자 일제는 재만 한인들을 효율적으로 통제하기 위한 방편 으로 ‘집단부락’과 ‘안전농촌’을 설치하였는데 이와 관련해서는 연변지역 집단 57) 김주용, 일제의 간도 경제침략과 한인사회 , 선인, 2008. 58) 황민호, 「재만 한인의 합법적 자치운동의 전개와 ‘自治’에 대한 국내 언론의 인식」, 한국 민족운동사연구 47,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06. 59) 崔丙桃, 「滿洲同胞問題協議會의 결성 및 해체에 관한 연구-1930년대 초 국내 민족운동진 영의 동향과 관련하여」, 한국근현대사연구 제39, 한국근현대사학회, 2006. 60) 김기훈, 「만주국시대 재만 朝鮮人 農民의 經濟的 狀況- 延吉縣 陽城村 B屯의 조사자료 분석 , 만주연구 8, 2008. 61) 김주용, 「심양(봉천) 근대도시화의 양면성」, 史學硏究 85, 韓國史學會, 2007. ______, 「만주지역 도시화와 한인이주 실태 -봉천과 안동을 중심으로」, 韓國史學報 35호, 고려사 학회, 2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