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8page

만주지역 민족운동사 연구의 동향과 과제 130 군사연구 제129집 이주한 기독교인들이 증가하면서 1930년대 말부터 본격화되기 시작하였다고 보았 다. 그리고 박의흠, 김윤섭 전도사와 한부선 선교사가 중심이 된 이 운동은 신사 참배를 인정하고 설립된 만주조선기독교회에 가입하지 않은 기독교인들을 중심으 로 전개되었는데 이들의 운동은 처음부터 신사불참배교회의 설립을 목표로 추진 되었으며, 1940년 1월에는 운동 참여자들이 신사참배가 우상숭배임을 천명하는 ‘장로교서약’에 서명하는 등 다른 지역에 비해 적극적인 투쟁의 형태를 견지하고 있었다고 분석하였다. 52) 대체로 지금까지의 만주지역 기독교회사 연구에서는 주로 1920년대 전반기의 교회나 노회의 활동 및 일부 개별 교회나 기독교 인물에 대해서만 집중적인 조명 이 이루지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후에는 만주사변 이후 만주 지역 기독교인들에 대한 국내 교단의 인식이나 활동 및 교단 파견 한인선교사들 의 독립운동세력이나 일제와의 관계 등에 대한 폭넓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 으로 생각된다. 한인사회주의운동과 종교와의 관계를 다룬 연구도 진행되었는데 이 연구에 따 르면 사회주의자들의 종교에 대한 적대적 태도는 이념의 대립이라는 측면에서, 그리고 지식운동이라는 관점에서 진행되고 있었다. 만주지역의 경우 이러한 반종 교운동은 1936년 6월을 전후하여 중국공산당 만주성위원회가 항일민족통일전선을 확대하기 위해 전략과 전술에 변화를 가져오면서 새로운 연대의 가능성을 나타내 기 시작하였다고 보고 이를 만주성위원회 등의 사료를 통해 분석한 연구가 발표 되기도 하였다. 53) 이밖에 만주지역 한인종교를 분석하는데 있어서 종교민족주의 개념과 분석의 틀이 갖는 문제점에 대해 지적한 연구와 만주국의 건국이념과 종 교의 관계를 ‘왕도낙토’에서 ‘황도낙토’로 변화되는 과정을 중심으로 그 특징을 분 석한 연구 등이 진행되었다. 54) 52) 김승태, 「일제 말기 만주지역 한인기독교인들의 신사참배 거부항쟁」, 한국민족운동연구 50,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07. 53) 최봉룡, 「1920~30년대 만주지역 한인사회주의운동과 종교 -종교에 대한 인식변화를 중 심으로-」. 한국민족운동사연구 62, 2010. 54) 고병철, 「일제 강점기 간도의 한인 종교와 민족주의 -종교민족주의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민족운동사연구 62, 2010. ______, 「만주국의 ‘황도낙토’ 구상과 종교」, 한국민족운동 사연구 50,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