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7page

특 집 군사연구 제129집 129 정책의 성격을 분석한 논문이 발표되었다. 48) 특히 후자의 논문에서는 1910년을 전후하여 일제의 대륙침략이 노골화됨에 따라 중국은 재만 한인을 자국민으로 편 입시켜 일본 세력의 침투를 미연에 방지할 필요성을 절감하게 되었으며, 이 과정 에서 한인의 민족교육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기 시작하였다고 보았다. 그리고 1915년 연길도윤 도빈이 반포한 「획일간민판법」을 계기로 중국의 지방당국은 기 존의 한인 교육에 대해 묵인 혹은 방임했던 태도를 버리고 한인 사립학교를 중국 의 학제에 편입시키고 중국 국적의 국민교육 실시에 박차를 가하였다고 보았다. 그러나 중국측의 교육정책은 교육을 통한 일본의 세력 확장을 차단하는 것이 목 적이었고 한인들의 민족성을 말살하는 고압적인 파시스트 교육이 아니었기 때문 에 1920년대 전반기까지만 해도 간도지역의 한인들은 기존의 민족교육의 맥을 그 대로 이어갈 수 있었다고 분석하였다. 한편 재만 한인의 종교와 관련해서는 우선 기독교 신앙에 바탕을 둔 역사교육 과 사회운동 및 3ㆍ13운동의 양상과 무장투쟁에 대해 정리한 연구가 있었으며, 49) 공산주의의 사상의 유입과 각 종단의 반공담론 및 만주국의 종교정책과 신종교 등 대해 포괄적으로 분석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50) 개별적인 연구 논문에서는 우선 일본과 한국측 자료에 의존한 연구자들은 용 정지역의 캐나다 선교사들이 3ㆍ13운동이나 경신참변 당시 한국의 독립을 후견했 다고 주장하지만, 실제로 선교사들은 이러한 말을 듣는 것에 대해 모욕적으로 느 끼고 있었으며, 궁극적으로 한국인들은 일본의 치하에서 국가경영 능력을 배워야 한다는 인식을 갖고 있었다고 분석한 연구가 발표되었다. 그러면서 이 연구에서 는 대체로 선교사들은 인도주의와 기독교신앙의 관점에서 재만 한인과 기독교인 들을 보호하고자 했으며, 그들이 재만 한인들에게 우호적이었던 것은 상대적으로 가혹했던 일제의 탄압에 대한 항의의 표현으로 보는 것이 합당하다고 주장하였다. 51) 만주지역 한인들의 신사참배 거부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졌는데 이 연구에서는 만주지역에서의 신사참배 거부운동은 국내에서의 신사참배 강요를 피해 만주로 48) 김주용, 「1920년대 전반기 북간도지역 학생운동의 양상」, 한국근현대사연구 제51집, 한국근 현대사학회, 2009. 박금해, 「20세기 초 間島 朝鮮人 民族敎育운동의 전개와 중국의 對朝鮮人 교육정책」, 한국근현대사연구 제48집, 한국근현대사학회, 2009. 49) 서굉일, 일제하 북간도 기독교 민족운동사 , 한신대학교 출판부, 2008. 50) 고병철, 일재하 재만한인의 민족운동 , 국학자료원, 2009. 최봉룡, 만주국의 종교정책과 재만 한인 신종교 , 태학사, 2009. 51) 문백란, 「캐나다 선교사들의 북간도 한인사회 인식-합방후부터 경신참변 대응시기까지를 중심으로」, 동방학지 144,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