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6page

만주지역 민족운동사 연구의 동향과 과제 128 군사연구 제129집 1920년대 사회주의사상이 유입 확산되는 과정에서 명동학교가 종교적 갈등의 여 파로 중학부가 폐쇄되게 되는 상황과 1925년 이후 명동학교 소학부의 운영상황에 대해 검토한 연구가 발표되었다. 44) 혼춘 북일학교에 대한 연구에서는 이 학교가 나자구 동림무관학교의 전통과 동창학교의 기반을 통합적으로 발전시킨 민족교육 기관이자 독립군양성, 민족주의 함양 및 기독교주의 등을 교육이념으로 한 항일 교육의 중심지였다고 평가하였다. 그리고 북일학교의 구성원들은 혼춘지역의 3ㆍ 13운동을 주도하였고 혼춘 군무부, 철혈광복단, 한민회, 대한독군부, 대한독립군에 참가하는 등 이 지역 독립운동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였음을 분석하였다. 45) 광명회와 영신학교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었는데 이 연구에서는 1921년 10월 용정에서 일고병자랑에 의해 설립된 친일단체 광명회의 성격을 중심으로 정리하 였다. 46) 대체로 광명회를 조직한 일고병자랑는 1906년 러일전쟁 후 일본군 참모 본부 촉탁으로 만주로 이주해 온 인물이며, 광명어학원, 광명여학교, 광명유치원, 광명사범, 광명고등여학교 등을 설립하는 한편, 1925년 4월에는 재정난에 빠진 영 신중학교, 영신중학교부속 소학교를 인수하였으며, 광명농원을 개설하고 광명저금 계, 용정부인회, 산업조합 등을 설립한 인물이었다. 이후 日高는 조선총독부로부 터 “만주로 건너간 이래 30년에 걸쳐 재만 조선인의 종교, 교육, 사상 선도, 농사, 산업, 위생 등 모든 방면에 진력을 다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교육사업에 반생의 ‘정혼’을 기울여 지능의 계발, 민족융화에 공헌한 공적이 특히 현저하다”는 이유 로 조선총독부 시정25주년기념 표창을 받은 인물이었다. 47) 따라서 필자는 이러한 성격의 광명회에 대해 본 회가 한인들의 사회ㆍ교육활동에 보다 많은 기회를 제 공한 것이 사실이지만, 그 목적은 조선인의 동화와 제국이념의 강요에 있었으며, 따라서 광명회가 실시한 교육은 근대적 교육이라기보다는 식민지교육이라고 평가 하였다. 학생운동이나 교육정책과 관련된 연구로는 1920년대 전반기 북간도지역 학생 들의 항일학생운동의 전개 양상을 정리한 논문과 20세기 초 중국의 대조선인교육 44) 이명화, 「북간도 명동학교의 민족주의교육과 항일운동」, 白山學報 第79號, 白山學會, 2007. 한철호, 「明東學校의 변천과 그 성격」, 한국근현대사연구 제51집, 한국근현대사학회, 2009. 45) 장석흥, 「혼춘 북일학교의 건립과 독립운동」, 한국학논총 31, 국민대한국학연구소, 2009. 46) 許壽童, 「간도 光明會와 永新中學校」, 만주연구 8, 2008. 47) 이명화, 위의 논문, 340~341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