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4page

만주지역 민족운동사 연구의 동향과 과제 126 군사연구 제129집 실태조사는 이후에도 장기적인 계획 하에 조사가 추진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이며, 실태조사 이후의 관리와 보존의 문제에 대해서도 적절한 조치가 필요 할 것으로 생각된다. 답사기로는 만주지역의 항일독립운동 관련 유적지를 중 심으로 거의 모든 한인관련 역사유적지가 포함된 답사기가 출간되기도 하였 다. 35) 독립운동사와 관련한 직접적인 자료는 아니지만, 국내외의 근대 만주관련 자료 를 망라한 단행본이 출간되었으며, 36) 일제시기 재만 한인의 삶과 기억을 정리한 구술 자료집이 출간되었는데 이 자료집은 연길, 장춘, 심양, 오상 지역의 한인들 을 중심으로 이들의 만주로의 이주와 정착과정, 가정형편과 생활조건(의식주), 생 계와 직업, 교육. 풍속과 교육 등에 대한 구술작업을 실시하였다. 향후 독립운동 과 관련된 기억을 되살리는 더 많은 구술 채록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37) 밀산과 연수, 하얼빈 지역의 한인들은 최근 자신들의 역사를 정리하여 출간하기도 하였다. 38) Ⅲ. 재만 한인의 민족교육과 종교 만주지역에서 재만 한인들이 적극적인 항일독립운동을 전개할 수 있었던 배경 과 관련해서는 주로 민족교육운동과 종교운동에 관한 연구가 주목되어왔다. 한인 들은 열악한 생활환경 속에서도 자녀들의 교육에 대해서는 대단히 적극적이었으 며, 교육운동이나 학교의 운영이 상당 부분이 종교 교단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 었다는 점에서 양자의 연관성이 강조되기도 하였다. 대체로 국내의 연구에서는 초기 한인사립학교들의 대부분이 민족주의 이념에 입각한 항일교육에 주력하였으며, 이를 통해 독립운동 세력들은 인재들을 공급받을 수 있었으며, 따라서 이 시기 민족교육운동은 궁극적으로 1920년대 항일민족운동의 35) 박환, (박환 교수의) 만주지역 한인유적답사기 , 국학자료원, 2009. 필자는 2001년에 발 간한 만주지역 항일독립운동 답사기 를 대폭 증보하여 발간하였다. 36) 한석정 외, 근대 만주자료의 탐색 , 동북아역사재단, 2009. 37) 김도형, 식민지시기 재만조선인의 삶과 기억 구술자료집 Ⅰ-Ⅳ, 선인, 2009. 38) 밀산조선족백년사편찬위원회, 밀산조선족백년사 , 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 2007. 연수현민족 종교사무국ㆍ연수현조선족민족경제문화교류협회, 연수현조선족100년사 , 민족출판사, 2005. 서명훈, 하얼빈조선민족백년사 , 민족출판사. 2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