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1page

특 집 군사연구 제129집 123 보다 상세한 보완이 있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21) 신팔균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 는 1876년 강화도조약의 체결을 주도했으며, 초기 개화사상가 속했던 조부 신헌 의 영향을 받아 무관의 길을 걸었던 그가 대한통의부의 군사위원장 및 사령관을 역임하면서 순국하기까지의 과정을 정리하였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신팔균의 순국에 대해 높이 평가하기는 했지만, 그의 활동에 대한 구체적인 실상이나 무장 투쟁론자로서의 그의 정치적 이념의 형성과 발전 과정 등에 대해서는 거의 언급 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22) 이밖에 1920년대 만주지역 민족유일당운동에 참여했던 김상덕의 독립운동의 역정과 해방 이후의 민족국가 건설의 역정에 대해 정리한 연구도 발표되었으 며, 23) 1930년대에 민족진영의 한국독립군이 일본군과의 전투에서 대승을 거둔 대 전자령 전투에 참여했던 조경한의 생애와 독립운동을 그가 남기 백강회고록 을 중심으로 정리한 연구가 발표되었다. 24) 그러나 필자도 지적하였지만 항일 독립운 동 과정에서 개인의 활동과 역할에 대해 후대에 작성한 회고록에 의존해서 정리하 는 것은 보다 엄격한 객관성의 확보가 필요한 조심스러운 부분이라고 하겠다. 자료조사와 관련해서는 김동삼과 홍범도, 이동휘, 정재면, 김정규, 김승빈, 허은 등의 자료집(회고록)이 출간된 바 있으며, 25) 중국 26) 과 북한 27)에서 관련 자료집과 21) 황민호, 「북만에서 쓰러진 항일무장투쟁의 거인-김좌진」, 春潭 劉準基 博士 停年退任紀 念論叢 - 韓國近現代人物講議 , 국학자료원, 2007. 22) 김주용, 「동천 신팔균의 독립운동연구」, 한국민족운동사연구 60집, 2009. 23) 신주백, 「한 길 속에서 일관되게 상대를 아우르려 한 令洲 金尙德」, 한국민족운동사연구 62집, 2010. 24) 장세윤, 「백강 조경한의 생애와 만주지역 독립운동」, 南道文化硏 14, 순천대학교 남도 문화연구소, 2008. 25) 김세일, 역사기록소설 홍범도 1~5, 제3문학사, 1989~1990. 이해동, 만주생활 77년-일송 선생 맏며느리 이해동여사 수기 ‘난중록’ , 명지출판사, 1990. 리영일, 「리동휘 성재선생」, 한국학연구 5-별집, 1993. 정대위 엮음, 하늘에는 총총한 별들이-북간도 鄭載冕의 독 립운동사 , 청맥, 1993.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龍淵 金鼎奎 일기 상ㆍ중ㆍ 하, 경인문화사, 1994. 국가보훈처, 해외의 한국독립운동사료 12-독립군의 수기 , 1995.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독립운동사자료집-홍범도편 , 1994. 허은, 아직도 내귀엔 서간 도 바람소리가 , 정우사, 1995. 26) 中共延邊州委黨史硏究室 編, 東滿地區革命歷史文獻彙編 상ㆍ하, 연변대학 의학원, 2000. 高術喬 主編, 東北抗日聯軍 第1軍 在遼寧史料長篇 , 瀋陽, 白山出版社, 2001. 吉林省公安 廳公安史硏究室ㆍ東北淪陷十四年史吉林編寫組 編譯, 滿洲國警察史 , 長春, 1990. 滿洲國 史編纂刊行會 編, 黑龍江省社會科學院歷史硏究所 譯, 滿洲國史(總論) , 哈爾濱; 黑龍江省 社會科學院歷史硏究所, 1990. 中央檔案館ㆍ中國第二歷史檔案館ㆍ吉林省社會科學院 合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