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page

만주지역 민족운동사 연구의 동향과 과제 122 군사연구 제129집 항일무장투쟁을 강조했던 정이형의 독립투쟁 노선과 진보적 민족주의자로서 정치 이념에 대해 다양한 자료를 통해 실증적으로 체계한 성과를 거두었다. 17) 중국학자에 의해서는 양세봉과 최진동에 대한 연구가 출간되었다. 양세봉에 대 한 연구에서는 조선혁명당의 강령과 정책이 1935년 관내에서 성립한 민족혁명당 의 그것과 비슷하다는 주장을 제기하기도 하였으며, 남한과 북한에서 모두 존경 받는 독립운동가로서의 그의 위상을 강조하고자 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양 세봉과 관련해서는 좌ㆍ우의 이념을 뛰어넘어 항일독립운동 전개하고자 했던 그 의 민족의식의 흐름에 대한 보다 개관적이고 실증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생 각된다. 18) 봉오동전투의 주역이며 청산리전투에 참가했던 최진동의 일대기도 정 리되었는데 이 연구에서는 당시의 전투상황에 대해서 뿐만 아니라 만년의 최진동 이 연변에서 자치운동에 참여하였으며, 과거와 달리 온건파 독립운동가로 활동하 였음을 주장하여 눈길을 끌었다. 연변지역 학자들에 의한 독립운동가에 대한 연 구는 중국측 자료나 구술, 혹은 구전 기록 등을 바탕으로 기존의 연구 성과를 보 완하고 있다는 점에서 일단 긍정적인 측면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19) 만주지역 독립운동가의 삶과 투쟁이 열전의 형태로 출간되었는데 한족회와 서 로군정서, 정의부 및 민족유일당운동에서 활약했던 김동삼과 봉오동전투와 청산 리전투의 영웅 홍범도에 대한 열전이 출간되기도 하였다. 20) 한편, 김좌진에 대해 서는 신민부의 결성과정과 그가 암살당한 이후 국내언론에 보도되었던 추모기사 의 내용을 정리함으로써 일제하에서도 김좌진이 수행한 청산리전투와 그의 독립 운동 관련 행적이 대중들에게 상당한 수준으로 알려져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그 런데 신민부 결성과 김좌진의 사망과 관련된 국내언론의 보도에 대해서는 차후에 17) 박환, 잊혀진 혁명가 정이형 - 친일파 처벌법 제정의 선구자 , 국학자료원, 2004. 18) 조문기 지음ㆍ안병호 옮김, 조선혁명군 총사령관 양세봉-1930년대 항일무장투쟁사의 큰 봉우리 , 나무와숲 2007. 이 책의 서문에는 양세봉에 대해 ‘서울의 국립묘지와 평양 애국 열사릉 양쪽에 모두 묘소가 있는 유일한 독립투사’라고 묘사되어 있다. 북한의 출판물에서 는 양세봉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서술하고 있다. ‘양사령은 늘 자기와 김형직은 결의형제라 고 하면서 나를 친구의 자식으로 극진히 사랑해 주었다. 오동진, 손정도, 장철호, 이웅, 김 사현, 현묵관과 함께 길림에서 나를 경제적으로 제일 잘 후원해 준 사람이 바로 양세봉이 었다’ 김일성, 세기와 더불어 2, 조선노동당출판사, 1992, 363쪽. 19) 김춘선ㆍ안화춘ㆍ허영길, 최진동장군 , 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 2006. 20) 김희곤, 만주벌 호랑이 김동삼 , 지식산업사, 2009. 장세윤, 홍범도의 독립전쟁-봉오동 청산리전투의 영웅 ,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역사공간, 2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