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6page

만주지역 민족운동사 연구의 동향과 과제 118 군사연구 제129집 대해 5권의 단행본을 발간하여 이 분야에 대한 그 동안의 연구 성과를 정리하였 다. 4) 그리고 개별적인 연구로는 대한독립군비단과 광정단에 대한 연구와 대한광 복군사령부와 대한광복군총영의 조직과정과 실체를 재론한 연구 및 독립군의 전 투상황이나 군자금 모집의 동향을 확인할 수 있는 연구 등이 진행되었다. 한편 대한군비단과 광정단 연구는 대한독립군비단이 대한민국임정부의 지시로 조직된 단체라는 기존의 견해에 의문을 제기하였다. 당시 장백현에는 1913년에 이미 한교동사회가 조직되어 있었다. 이 단체의 주축이 후일 군비단의 주요 구성 원이 되었음을 감안할 때 군비단은 1910년대 이전에 단체 성립의 기운이 무르익 고 있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는 주장을 제기하였다. 뿐만 아니라 이 연구에서 는 군비단이 발전적인 해소를 단행한 후 결성된 광정단의 이념과 활동에 대해서 정리하였다. 5) 대한광복군사령부와 대한광복군총영에 대한 연구에서는 광복군사령 부가 1920년 2월경 서간도의 한족회, 대한청년단연합회 및 민국독립단과 대한독 립단이 통합한 독자적인 독립군단이 아니라, 1920년 8월경 상해 임시정부가 서간 도에 설치한 임정 군무부 산하의 조직이었다고 주장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대한 광복군사령부와 대한광복군총영은 별개 조직이 아니라 하나의 조직에 명칭을 달 리한 조직이었다고 주장함으로써 기존의 연구가 갖고 있는 문제점을 지적하고자 했던 것으로 보인다. 6) 이밖에 1920년대 만주와 연해주지역의 독립군단들의 통합 운동의 전개과정과 이를 통해 대한독립군단이 결성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고 그 역사적 의의를 부각시키고자 한 연구도 있었다. 7) 4) 윤병석, 1910년대 국외항일운동Ⅰ-만주ㆍ러시아 (2009), 황민호ㆍ홍선표, 3ㆍ1운동 직후 무장투쟁과 외교활동 (2008), 반병률, 1920년대 전반 만주ㆍ러시아지역 항일무장투쟁 (2007), 채영국, 1920년대 후반 만주지역 항일무장투쟁 (2007), 장세윤, 1930년대 만주지 역 항일무장투쟁 , 한국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9. 5) 김주용, 「중국 長白地域 독립운동단체의 활동과 성격-大韓獨立軍備團과 光正團의 활동을 중심으로」, 史學硏究 제92호, 한국사학회, 2008. 6) 윤대원, 「서간도 대한광복군사령부와 대한광복군총영에 대한 재검토」, 韓國史硏究 133, 韓國史硏究會, 2006. 이 연구에서는 대한광복군총영에 대해 1920년 7월 1일 이후 안동현에 서 광복단을 중심으로 대한광복군총영이 조직되었으며, 이보다 약 한달 뒤에 임시정부에 의해 대한광복군사령부의 조직개편안이 완성되었는데 안동현과 상해의 정보교환이 원활하 게 이루어지지 못했고, 뒤이어 일제의 토벌과 탄압으로 독립군단체가 각지로 흩어지면서 대한광복군사령부案은 관철되지 못하였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대한광복군총영이 실질적인 지방사령부 역할을 하게 되자 두 단체의 조직명이 혼용되게 되었다고 보았다고 파악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7) 윤상원, 「무장부대 통합운동과 대한 독립군단 : 1920년대 초 만주와 연해주 무장부대들의 동향」, 역사문화연구 第24輯, 韓國外國語大學校 歷史文化硏究所, 2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