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5page

특 집 군사연구 제129집 117 이러한 연구 성과를 시기별ㆍ주제별로 검토한 논문도 여러 편 발표되었다. 2) 본 논문에서는 주로 기존의 연구경향에 대한 검토에서 다루지 못했던 최근의 연구 성과를 중심으로 만주지역 항일민족운동사와 관련된 인물과 단체, 교육운동 과 종교, 재만 한인의 사회적 실태와 친일단체의 활동 등의 연구 성과와 특징에 대해 정리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시도는 궁극적으로 만주지역 항일독립운동사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3) Ⅱ. 항일독립운동사 관련 연구 1. 독립군조직의 결성과 항일무장투쟁 만주지역에서는 1919년 3ㆍ1운동을 전후하여 수많은 독립운동단체들과 독립군 조직이 결성되었다. 이들의 국내진입작전은 일제의 식민지통치에 타격을 가하는 한편 국내외의 민중들을 각성시키는 성과를 거두었다. 따라서 1920년대 이후 만 주지역에서 결성되었던 독립군단이나 독립운동단체 및 이들이 수행했던 전투, 혹은 관련 인물에 대한 연구는 만주지역 항일무장투쟁사 연구의 중심 주제가 되어왔다. 그리고 기존의 연구에서는 북로군정서ㆍ대한국민회ㆍ대한독립단ㆍ 광복군총영ㆍ대한청년단연합회 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왔으며 1920~30년대 중요 독립운동단체의 결성과정이나 활동 내용에 대해서는 일정한 검토가 이루 어졌다. 이러한 상황에서 최근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에서 광복 60주년을 기념하여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총 60권을 발간하면서 만주지역 항일독립운동사에 2) 김성보, 「중국 동북지역 초기 민족해방운동」, 쟁점과 과제 민족해방운동사 , 역사비평사, 1990. 김광운, 「항일무장투쟁과 조국광복회」, 쟁점과 과제 민족해방운동사 , 역사비평사, 1990. 김희태, 「무장 항일독립운동사에 대한 延邊史學界의 시각」, 한국독립운동사연구 5,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1991. 김성호, 「중국연변대학의 조선족연구단체 및 학자들」, 쟁점 한국근현대사 2, 한국근대사연구소, 1993, 박영석, 「해외 한인 독립운동사연구에 대한 회고와 전망」, 한민족독립운동사 12, 국사편찬위원회, 1993. 신주백, 「무장투쟁사」, 「만주지역 사 회주의운동사」, 「연변에서의 역사연구와 자료현황」, 1920~30년대 중국지역 민족운동사 , 2005, 선인. 김춘선, 「조선인의 동북이주와 중․조(한) 국경문제 연구동향-중국학계의 연구 성과를 중심으로」, 한중관계사연구의 성과와 과제 , 국사편찬위원회, 2004. 3) 이 논문에서는 주로 2005년을 전후하여 2010년까지의 시기의 만주지역 항일독립운동사와 관련된 연구 성과들이 중요 검토 대상이 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