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9page

. 아프간전쟁 승리의 전략전술 82 군사연구 제128집 당시 투르만 행정부의 한반도를 둘러싼 대외정책은 현상유지가 그 뼈대였다. 그러나 연합군사령관 맥아더 장군은 그에 동의하지 않고, 원자폭탄을 비롯한 어 떤 수단을 써서라도 적을 격파해야 한다는 입장이었다. 앞서 클라우제비츠의 전 쟁이론에 따르면, 전쟁은 정치적 행위이지 군사적 행위만은 아니다. 맥아더 장군 이 해임된 것은 한국전쟁을 하루 빨리 끝내길 바라는 미국내 여론을 따르려던 투 르만 대통령의 정책결정을 거스르려 했기 때문이었다. 베트남전쟁도 여론이 주요변수로 작용한 전쟁이었다. 알제리아 독립전쟁에서 프랑스군의 군사력이 알제리아 게릴라들을 압도했듯, 베트남전에서도 미군의 화 력이나 전투력은 베트콩과 월맹군을 압도했다. 전쟁 개입 초기 미국 행정부가 주 요결정을 할 때마다 미 국내여론은 그것들을 지지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전사자가 늘어갈수록 베트남전의 미국 개입에 부정적인 반전여론들이 닉슨 대통 령으로 하여금 베트남전에서 미군철수를 결정하도록 압력을 가했다. 갤럽 여론조사에 따르면, “미국의 베트남전 개입결정은 잘못된 것인가”라는 설 문에 대해 1965년 24%, 1966년 35%, 1967년 45%, 1969년 58%, 그리고 1973년 베트남전 평화협상이 파리에서 조인되기 직전엔 60%에 이르렀다. 18) 결과론적이 지만, 로버트 에릭슨 같은 일부 미학자들은 “만약 케네디와 존슨 행정부가 미국 내 여론의 장기적 추이를 미리 알 수 있었다면, (개입확대가 아닌) 다른 결정을 내렸을 것”이라는 가설을 내놓았다. 19) 미국내 여론이 미국 정치에 지닌 영향력을 단적으로 나타내는 말이다. 일반적인 전쟁교범에 따르면, 심리전이란 적국의 여론을 악화시킬 목적으로 수 행된다. 북베트남 하노이 정권은 군사력에서 미군을 이길 수는 없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었다. 그러나 미 행정부의 약점이 미국의 여론을 의식해야 한다는 판단 아래, 가능하면 많은 미군 사상자를 내려고 노력했다. 군사적 관점에서 보면, 1968년 북베트남의 구정 대공세(Tet offensive)는 실패였다. 그러나 미국내 여론 에 큰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성공이었다. 구정 대공세 뒤 미국인들은 “무슨 이 유로 많은 미국의 젊은이들이 베트남에서 피를 흘려야 하는가”에 의문을 나타내 기 시작했다. 18) William G. Mayer, The Changing American Mind, How and Why American Public Opinion Changed between 1960 and 1988(Th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92), p.69. 19) Robert S. Erikson, Norman Luttbeg, & Kent Tedin, American Public Opinion: Its Origins, Content, and Impact (New York: John Wiley &Sons, 1980), pp.25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