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page

. 아프가니스탄의 역사와 분쟁 62 군사연구 제128집 아래 유일하게 통합했다. 그들이 일시적으로 헤게모니를 장악했을 때, 두라니부족 에게 무자비한 압력을 가했다. 두라니부족은 ‘아흐마드 샤’의 지도 아래 보다 많은 정착생활에 들어갔고 강력한 종족 연합체의 통제아래 중앙정부를 수립하였다. 66) 네 번째 분쟁유형은 종족과 종족 사이의 대립이다. 이 유형의 가장 중요한 갈등 구조는 파쉬툰족 대 비파쉬툰족의 분쟁이다. 아흐마드 샤가 파쉬툰족 중심의 아프 가니스탄 왕조를 건설하자 비파쉬툰족들은 자신의 권리가 박탈당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비파쉬툰족들은 파쉬툰족의 헤게모니의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무장반란과 폭동을 일으켜 대표적인 종족은 하자라족, 우즈벡족 및 타직족이 있다. 비파쉬툰족들은 파쉬툰의 동의어인 아프간이라는 단어와 국가적 시민권으 로 사용되는 것에 대해 반대하였다. 이러한 종족적 소외감은 아프가니스탄에 단 일한 국민국가의 건설에 커다란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더 나아가 파쉬툰 족과 비파쉬툰족의 갈등은 근친결혼과 사회경제적 이동이 강하게 나타나 사회결 속력을 약화시키고 있다. 다섯 번째 분쟁유형은 종족 사이의 적개심이 중요한 정치적 의미를 가진다. 이 분쟁은 국민국가를 건설하려는 중앙권력과 종족사회를 보존하기 위해 이를 반대 하는 지방권력 사이의 갈등이다. 모든 아프가니스탄 종족들은 종족구조를 해체시 키고 중앙권력을 수립하려는 중앙정부에 대한 무조건적으로 반대한다. 이제까지 아프가니스탄에서는 중앙권력을 장악한 종족이 기존의 종족적 권위구조를 대신하 려는 어떠한 노력도 실시하지 않았다. 카불의 두라니부족 통치자는 종족사회를 정착시키고 문명화작업을 실시했지만 다른 종족들로부터 충성과 지지를 결코 받지 못했다. 두라니부족은 다른 종족들 은 물론이고 같은 파쉬툰족인 길자이 부족으로부터도 지지를 받지 못했다. 역사적으로 이 투쟁은 카불의 중앙권력과 다양한 종족들의 지방권력 사이에서 지속적으로 나타났다. 이 현상은 일정 시기동안 균형 상태로도 나타났다. 그러나 이 균형은 오랫동안 지속하지 못했다. 넓은 의미에서 볼 때 중앙정부는 종족권력 의 약한 균형 상태에서 존재했다. 강력한 통치자가 나타날 때면 종족분쟁은 상대 적으로 약화된다. 그러나 중앙권력이 약화되거나 동요되면 곧바로 종족들의 반란 66) 아흐마드 샤의 사망 이후 두리니부족의 내분은 가속화되었고 길자이부족은 강력한 세력 으로 성장하여 두라니 부족 왕조를 약화시켰다. 두라니부족과 길자이부족의 연합은 외부 의 개입, 특히 영국의 침입에 대항하여 형성되었다. 그러나 길자이부족은 지속적으로 중 앙정부를 반대하였고 다른 어떤 종족과도 융화되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