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0page

. 정약용 군사사상의 현대적 의미 284 군사연구 제128집 모의 지상 전력이 공격적인 기세를 발휘할 것이고, 한반도의 짧은 종심과 갱도화 되어 있는 북한 진지, 북한이 보유하고 있는 다수의 미사일과 핵무기는 우리가 우리의 독창적인 전쟁수행을 고민해야 할 분명한 이유다. 이런 측면에서 당시 중 국의 영향력 속에서도 독창적인 조선의 군사사상, 전쟁을 준비하고 수행하려 했 던 다산의 군사사상과 열정을 본받아야 하지 않을까? 나. 다산 군사사상의‘현실성’ 다산의 군사사상은 당시의 현실에 깊게 뿌리를 두고 있었으며, 이는 전시작 전권 환수와 북한의 위협의 변화, 국내의 안보인식 등의 현실적인 변화를 적극 수용하고 대처해야 하는 우리 군의 입장에서 반드시 받아들여야 할 교훈이다. 조선후기의 관군의 수는 약 십만 명에 불과했고 내·외부에 많은 문제들로 인하 여 효과적인 역할과 기능을 발휘하기 어려운 상황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다산 은 당시 국가와 국방의 상황을 고려하여 전쟁을 수행하려면 총력전이 되어야 하 고 이를 위해 조선의 가용 전력에 백성들을 포함시켜 중심에 두었다. 이러한 백 성 중심의 전쟁수행 체제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정치와 경제 측면의 개혁인 여전 제를 함께 주장함으로써 실현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당시 일본과 북방의 침략에 대해서는 현실적으로 열세했던 당시 조선의 군사력을 인정하고 거점 위주 의 방어를 실시하다가 유격전 형태의 공격이라는 군사력 운용차원의 ‘수세후 공 세’, ‘견벽청야(堅壁淸野)’ 전략을 제시한다. 이와같이 다산의 군사사상은 당시 역 동적으로 변화하는 현실 속에서 그 현실에 뿌리를 두고, 실천가능한 근대적이고 합리적인 사고를 했으며 이러한 현실성은 더욱더 급변하고 있는 현재의 정세 속 에 우리들이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많은 의미를 주고 있는 것이다. Ⅲ. 결 론 지금까지 다산의 군사사상을 그의 군사 분야 대표 저서인「아방비어고」와 「민보의」를 통하여 살펴보고, 현대에 주는 교훈을 도출해 보았다. 그 결과 다산 의 군사사상은 합리적이고 근대적인 사고 속에서 정립되었으며 이를 기초로 당시의 조선의 현실 속에서 유일한 대응전략을 제시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