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2page

. 정약용 군사사상의 현대적 의미 276 군사연구 제128집 다. 하나는 ‘위협에 기초한 접근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능력에 기초한 접근방법’ 이다. ‘위협에 기초한 접근방법’은 위협의 명확성과 긴급성을 기준으로 적국의 계 획이나 군사태세에 효과적으로 대응해 나가는 접근방법이고, ‘능력에 기초한 접근 방법’은 어떠한 위협에도 대처할 수 있는 충분한 능력을 구비한다는 것이다. 19) 이 중에서 ‘능력에 기초한 접근방법’은 주로 선진 기술을 보유한 군사강국이 취하 는 접근방법이며, 그 외에 대부분의 국가들은 제한된 국가적, 군사적 능력을 고려 하여 ‘위협에 기초한 접근방법’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당시 조선과 주변국의 국 가적, 군사적 능력을 상대적으로 고려해 본다면 다산의 명확하고 구체적인 위협 도출과 그에 대응하기 위한 국방 건설과 운용은 매우 실천적인 국방관(國防觀)이 라고 할 수 있으며, 다산의 군사사상의 기초가 된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다산의 군사사상은 군사력 운용과 군사력 건설이라는 두 요소가 조화롭게 균형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목차에서 볼 수 있듯이 다산은 군사력을 운용하여 직접적인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내용으로 성과 주변의 해자 등을 포함하는 성지에 대한 내용을 다루는 성지 고(城池考), 당시 방어를 위한 거점이라 할 수 있는 진과 보를 다루고 있는 진보 고(鎭堡考), 군사력 운용을 위한 제도를 다루고 있는 군제고(軍制考)라는 항목을 제시하였다. 정약용이 이후 「민보의」를 비롯한 많은 서적의 군사관련 내용에서 지방의 진과 보 단위로 성을 중심으로 하여 청야입보(淸野入堡)나 이일대로(以逸 待勞) 20)의 군사전략을 펼치려 하였다는 것을 감안한다면 성지고, 진보고, 군제고 는 현대적인 측면에서 군사전략과 군사제도, 전쟁수행 개념 등 군사력 운용에 대 한 전반적인 내용을 체계적으로 제시하려고 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다산은 당면한 위협에 대한 직접적인 군사력의 운용도 중요하게 생각했지 만 한편으로 군사력 운용의 수단을 구비하는 군사력 건설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중요시 생각하였고 볼 수 있다. 이를 위해 무기체계를 다루는 기계고, 인적 자원 의 개발과 관리, 리더십을 다룬다고 볼 수 있는 장수고, 군사력 운용의 뒷받침이 19) 박휘락, 「전쟁, 전략, 군사입문」(경기도 : 법문사, 2007), p.198. 20) 청야입보, 이일대로 : 적이 침입하면 모든 식량을 없애거나 성으로 반입한 후 성을 통하 여 장기적인 저항에 돌입함으로써 적의 군량 확보를 어렵게 하고, 적을 우군지역 깊숙이 끌어들여 피로하게 한 이후에, 적이 지쳤거나 퇴각할 때 공격하여 격멸한다는 개념이다. 고구려시대에 정립되어 수 및 당과의 항쟁에서 철저히, 성공적으로 시행되었고, 고려시대 에는 거란 및 몽고와의 항쟁에서도 적용되었다. 이 개념은 조선시대에까지 계승되고 강 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