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1page

. 군 사 사 / 기 타 군사연구 제128집 275 「아방비어고」의 목차를 세부적으로 살펴보자. 「아방비어고」는【표 1】에서 볼 수 있듯이 제1부와 제2부로 구분되어 있다. 제1부는 조선과 관련된 주변국들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자 하였다. 이 중 일본고(日本考)는 실제 저술되어 있는데 다 양한 서적들로부터 일본 관련 기록을 초록하여 모은 내용이 항목별로 정리되어 있다. 또한 일본과의 전쟁 기록인 임진왜란이 일본고와는 별도로 자세하게 저술 되어있다. 다산은「아방비어고」의 목차를 제시하고 두 아들에게 자료를 모아 초 록하도록 지침을 주었는데 그 내용에는 해당 나라의 전쟁을 기술할 때는 공격당 하는 쪽을 중심으로 기술하도록 하였다. 제1부의 내용을 현대적인 측면에서 설명 한다면 우리의 안보정세를 평가하여 위협을 도출하기 위해 『국방정보판단서』를 작성하거나 이를 기초로 안보위협을 도출하는 것과 유사하다고 하겠다. 「아방비어고」제2부에는 지금의 국방의 의미인 관방에 대한 내용을 다루는 관방고(關防考)라는 목차를 두고 있다. 관방이란 국경을 방위한다는 뜻으로서 당 시 국방의 주요 역할인 국경방위를 의미한다고 하겠다. 그 외에 목차로는 성과 주변의 해자 등을 다루는 성지고(城池考), 당시 방어를 위한 거점이라 할 수 있는 진과 보를 다루는 진보고(鎭堡考), 군사 제도를 다루는 군제고(軍制考)라는 항목 이 있는데 조선시대의 군사제도와 체계를 다루고자 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기계고(機械考)는 무기체계를, 장수고(將帥考)는 인적 자원 관리 및 리더십을, 교 련고(敎鍊考)는 교육훈련을 다루려 했다고 볼 수 있으며, 봉수고(烽燧考)는 지휘 통제에 대한 국방 차원의 내용을 다루려 했음을 알 수 있다. 현대적인 관점에서 보더라도 우리는 다산의「아방비어고」목차에서 전혀 논리 적인 모순을 찾아볼 수 없다. 주변국에 대한 철저한 정세평가를 통해 위협을 도 출하고, 이에 대비하기 위한 국방 차원의 큰 방향제시와 이를 기초로 성곽을 중 심으로한 당시 방어체계, 군사제도, 진과 보의 방어편성을 제시하고 여기에 무기 체계와 지휘관의 리더십, 교육훈련, 지휘통제를 포함하고 있는 다산의 국방에 대 한 인식체계를 통해 우리는 다산의 체계적이고 합리성에 기초를 둔 군사사상을 이해 할 수 있다. 「아방비어고」의 목차를 통해 분석 결과를 기초로 군사사상을 제시하자면, 첫 째 군사력은 명확하고 구체적인 위협을 도출하고 그것에 대응하기 위한 역할을 기초로 한다는 것이다. 현재 군사능력을 발전시키고 증강하는 접근방법을 크게 두 가지로 제시하고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