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8page

. 정약용 군사사상의 현대적 의미 272 군사연구 제128집 조선의 군대는 너무 약해서 조금 어려운 위협을 만나면 곧 무기를 버리고 사방 으로 도망갈 생각만 한다. 이것은 훈련 부족과 조직에 결함이 있기 때문일 것이 다. 병기고에는 양질의 피복이나 군수품, 병기도 없다. 모든 것을 지방 관리들이 팔아먹고 그 대신에 쓰지 못하는 헌 누더기와 헌 쇠를 넣어 두었다.(생략)” 위의 글은 단편적이지만 당시의 국방 실태, 즉 군역제도의 부정, 문무의 불균 형, 무관의 변질, 군비의 허실, 훈련의 부재, 공공행정 및 아전들의 부패와 착취 등 전반적인 국방체제의 모순과 혼란, 운영상의 문제, 그리고 이러한 현상이 발생 하게 된 배경까지 적나라하게 기술되어 있다. 조선후기는 국방뿐만 아니라 모든 분야에서 모순과 혼란이 팽배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조선사회는 국방 분야를 포함하여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각 방면에 서 변화의 움직임이 일어났다. 백성들은 자신이 일구어낸 경제적 터전을 지키기 위해 지배층에게 적극 대처하였고, 기존 질서를 극복하고 새로운 질서를 모색하 려는 움직임이 사회 저변에서 꾸준히 진행되면서 기득권층에 대한 도전도 수위가 높아졌다. 국방 측면에서는 실학자를 비롯한 진보적 군사사상가들이 국방력을 강 화하기 위한 대안을 모색하였으며, 사회 불안의 원인이 되는 군정의 폐단을 개선 하고 국방을 강화하기 위해 여러 가지 정책 개혁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선두 에 섰던 대표적인 인물이 다산 정약용이었다. 다산은 삼면에서 적과 대치하는 우리나라는 지정학적으로 군비확충이 가장 중 요한 문제라고 전제한 뒤 병농일치제에 의한 중앙군 강화책, 중앙 군영의 둔전, 진보제도 등 국방개혁책을 제의하였다. 즉, 지주제도와 토지겸병의 폐혜를 극복하 고 농사짓는 사람이 토지를 가져야 한다는 여전법을 기초로 병제 또한 바로잡고 자 하였으며 토지제도를 군사조직의 근간으로 삼아 여(閭)-리(里)-방(坊)-읍(邑) 에 따라 대오를 편성하는 병농일치의 군제 개혁안을 구상하였다. 12) 나. 저서를 통해 본 다산의 군사사상 다산의 군사에 관한 인식 즉, 군사사상을 가장 잘 알 수 있는 것은 무엇보다 도 그의 군사관련 저서이다. 다산은 매우 많은 저서를 저술한 인물이었고, 그의 해박한 지식과 통찰력은 미치지 않는 분야가 없었다. 국방에 관한 내용도 많은 부분에서 언급되고 있는데 국방에 관한 저서 중에서 다산의 군사사상을 가장 잘 12) 정해은, 「조선후기 국토방위전략」(서울 :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2), p.1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