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0page

. 정약용 군사사상의 현대적 의미 264 군사연구 제128집 이를 바탕으로 했으나 기존의 연구가 주로 군사제도, 군사전략에 초점을 맞춘 실 체적인 분야의 연구와 분석이었다면 이 글에서는 보다 총체적인 군(軍)에 대한 인식체계에 있어서 다산의 논리성과 체계성을 근본적으로 조명하여 봄으로써 현 재 우리에게 주는 의미를 찾고자 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군사사상이 무엇인가를 규정한 후, 다산 정약용에 대한 인 물연구를 통해 그의 생애와 주장하는 바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현대의 우리에게 주는 의미를 도출해내는 방식으로 논의를 전개하고자 한다. Ⅱ. 본 론 1. 군사사상이란 무엇인가? ‘군사사상’의 개념을 정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각각의 의미를 지니고 있는 ‘군 사(軍事)’라는 단어와 ‘사상(思想)’이라는 단어를 구분하여 의미를 파악해보고 합 성어로서 ‘군사사상(軍事思想)’이라는 용어를 정의해 보고자 한다. 먼저 ‘군사’라는 용어는 기능적 요소와 목적적 요소가 동시에 포함되어 있는데 기능적 요소란 정치, 외교, 경제와 같이 국가목표를 달성하는데 기여하는 국가 고 유의 무력적 활동을 말하며, 군대의 관리와 운용을 통해 그 기능이 수행된다. 가치적 측면에서 볼 때 국가는 무력이라는 수단에 의해 최종적인 정치목적을 달성하거나 정책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군사’는 여타의 국가기능과는 달 리 폭력이라는 수단을 통해 국가목표 달성에 기여하게 되므로 국가가 예상하고 있는 전쟁의 범위를 벗어나서는 안 된다. 다시 말해서 전쟁을 하나의 국가정책 으로 결정했다면 정치는 국가가 의도하는 바 목적달성 수단인 전쟁이 무제한으 로 발전되지 않도록 전쟁목적과 목표의 한계를 확실히 정해 주어야 하는 것이 다. 따라서 전쟁을 그 속성으로 하고 있는 ‘군사’는 당면한 전쟁의 본질은 무엇 인가? 전쟁에 의해서 무엇을 달성하고자 하는가? 하는 전쟁목적과 관련된 가치 의 선택과정으로서 전쟁철학을 포함하지 않을 수 없다. 2) 따라서 ‘군사’란 기능적 측면에서 ‘무력적 활동’과 관련된 군대조직, 무기 및 장비, 전투원, 군사이론 및 2) 육군본부,「한국의 군사사상」(1992), pp.1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