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3page

. 군 사 사 / 기 타 군사연구 제128집 247 관방이 이루어졌다면, 사르흐 패전 이후에는 평안도 방비가 약화됨에 따라 수도 중심의 관방이 진행되었다. 1. 평안도 관방 특징 임진왜란 이전까지 조선의 관방은 내지(종심)보다는 연변을 중심으로 진행되었 다. 26) 하지만 임진왜란 이후에는 적의 위협, 연변방어의 약화, 임진왜란의 경험 등의 이유 때문에 종심위주의 관방으로 변화되었다. 청의 위협이 소규모 적에서 대규모 적으로 변화되고 기동성 있는 기병위주로 전술을 구사함에 따라 연변방어 보다는 내지관방이 추진되었다. 또한 조선 전기 연변방어체제가 무너지고 있었다. 연변방어체제의 핵심 병력인 토병(土兵)의 규모가 줄어들었으며, 연변방어지대내 군량미, 무기, 城池 등이 준비되지 않아 제대로 방비할 수 없었다. 27) 또한 임진왜 란 이전에는 결전 수행과 기병에 의한 기동전에 승리한다는 조선 전기 장수들의 전술관과 주요 고개와 요해지 방비에 소홀함으로 임란 초기 패전 원인이 있음을 인식함에 따라 28) 류성룡을 비롯한 위정자들은 종심 유지 전략으로 변화하였다. 창성 삭주 의주 [의주 확대도] [창성 확대도] <그림 1> 압록강 연변 주요 관방 26) 강성문, 『한민족의 군사적 전통』(서울 : 봉명, 2000), p.7. 27) 권내현, 『조선후기 평안도 재정 연구』(서울 : 지식산업사, 2004), p.40, 『군문등록』병 신년 2월11일조, 을미년 10월 29일조, 병신년 9월 3일조, 을미년 10월 29일조. 28) 류성룡은 『징비록』에서 신립의 탄금대 전투가 죽령, 조령과 같은 요해지를 방비하지 않 음을 비판하였고 이후 류성룡의 이런 인식은 광해군 시대 관방론에 많은 부분이 수용되 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