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7page

. 군 사 사 / 기 타 군사연구 제128집 241 한다. 왜냐하면 17세기 초반은 대내외 정세와 그에 따른 생존전략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었는데, 5) 이는 세계질서 변화의 모습이 미국 패권 약화와 새로운 세계질서로의 변화라는 현 시대와의 유사성 때문이다. 또한 임진왜란 이후 전쟁 경험을 바탕으로 전쟁에 대비함에도 정묘・병자호란에 패배하게 되는 과정은 한국 전쟁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전쟁에 대비하는 현 시대 군사상황과도 유사하다. 더군다나 전쟁에 대비에도 패배하게 되는 패배의 역사에 대한 교훈을 고찰하여 미래 전쟁에 되풀이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기 때문이다. 17세기 관방론을 통해 전쟁의 준비와 수행과정을 살펴보기에 앞서, 우선 독자 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이론적 개관이 필요하다. 따라서 2장에서는 17세기 초반 대 내외 정세에 대한 기존 연구를 요약하고, 조선시대 군사용어인 관방에 대한 개론 을 다루겠다. 호란에 대한 전쟁 대비는 선조 시대 경험을 바탕으로 광해군 시대 주로 추진되었다. 따라서 4장에서는 군사력 건설과 배비 6) 과정을 광해군 시대를 중심으로 고찰하겠다. 특히 모든 지역에 대한 관방에 대하여 살펴보기보다는 한 반도 관방의 핵심이었으며, 정묘호란과 병자호란의 주 결전의 장소였던 평안도와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살펴보겠다. 또한 4장에서는 실 전장에서 군사력 운용의 모습을 정묘호란과 병자호란에서 주요 결전을 중심으로 살펴보겠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관방론속에서 호란의 패배원인을 살펴보고, 그 교훈과 시사점을 도출 하여 미래 전쟁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고자 한다. Ⅱ. 17세기 초반 정세와 관방론 대내외 정세 변화에 따라 전술과 전략은 변한다. 대한민국은 한국 전쟁 이후 북한의 대남도발을 억제하고 침공시 수도권 이전 격퇴를 위하여 국경선 위주의 5) 중국 중심의 세계 질서 변화 속에 보인 광해군의 외교 정책이 세계질서의 변화에 따른 한 국의 대 열강 세력과의 외교 정책의 돌파구가 됨을 보인 한명기의 연구가 대표적이다. 한명기,『광해군』(서울 : 역사비평사, 2000), 한명기, “정묘․병자호란과 동아시아 질서,” 역사학회 편『전쟁과 동북아의 국제질서』(서울 : 일조각, 2006) 6) 군사전략은 군사력 운용, 건설, 배비, 조정으로 구분된다. 운용이란 어디에서 누구를 대상 으로 사용하는가이고, 건설은 군사력 운용전략과 자원에 따라 건설되어진다. 배비는 적의 위협에 따른 반응시간, 취약성 그리고 융통성 요소를 고려하여 병력 배치, 동원 등으로 적 의 위협에 대응하는 것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