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6page

. 17세기 초 평안도 및 경기도 관방의 특징 240 군사연구 제128집 Ⅰ. 머 리 말 역사 연구는 옛날 일에 대한 단순한 지식이 아니라 역사적 사실을 통해 혜안과 통찰력을 갖기 위함이다. 특히 전쟁을 예방하고 승리하기 위한 전쟁 연구는 다른 자연과학처럼 실험실에서 실험할 수 없기에 전쟁사를 통해서만 가능하다. 전쟁사 를 통해 나타난 통찰 중의 하나는 지전략적 1) 위치와 생존 전략과의 상관관계이 다. 예를 들어, 배기찬은 동아시아 2천 년 역사 고찰로 한국이 대륙세력과 해양세 력의 경계에 있다고 보았다. 2) 가토 요코는 일본의 지전략적 위치가 한반도가 일 본의 이익강역이기 때문에 일본 생존을 위하여 한반도로 침공하게 되었다고 보았 다. 3) 또한 중국은 조선을 중국의 영향력 아래(속국 혹은 동맹국) 두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4) 거시적 측면인 한반도 위치와 전략의 상관관계 연구와 달리 미시적 측면, 즉 한반도 지형 내에서 한반도 운명을 결정지은 장소가 어디이며, 어떻게 전쟁을 준 비하고 수행되었는지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미흡한 편이다. 하지만 한반도 전쟁 사의 주요 특징은 주요 결전 장소와 주요 적의 침공로가 대부분 일치하고 있다. 또한 조선시대에서는 이런 한반도 전쟁사 특징을 바탕으로 주요 결전이 이루어진 장소에 대한 대비를 관방론으로 체계화하여 준비하여 왔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는 크게 두 가지 문제를 제기하고 이를 해결하고자 한다. 첫째, 조선시대 관방이란 과연 무엇이며, 이런 관방의 측면에서 어떻게 전쟁을 대비하였는가? 둘째, 관방의 측면에서 전쟁에 패배한 원인과 교훈은 무엇인가? 이 두 가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필자는 17세기 초반 관방을 연구하고자 1) 지전략은 지리적 위치와 지정학적 요소가 국가전략에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한반도의 지 정학적 특징은 대륙 중심 세력과 해양 중심 세력이 상호작용을 벌이고 있는 것이다. 이런 지정학적 특징에 대한 이론으로는 맥킨더의 심장부 이론, 스파이크맨의 주변지역이론 등 이 있다. 한반도의 지형적 특징은 횡적인 강과 종적인 산맥이 발달되어 있는 특징을 지닌 다. 이와 같은 지리적 위치와 지정학적 요소가 국가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지전략이라고 한다. 자세한 내용은 이원승, “군사전략지리” 『군사평론』참조. 2) 배기찬, 『코리아 다시 생존의 기로에 서다』(서울 : 위즈덤하우스, 2005) 3) 가토 요코, 박영준 역,『근대 일본의 전쟁논리』(서울 : 태학사, 2003) 4) 淸 이홍장의 조선책략, 모택동의 한국전쟁 개입, 그리고 명의 임진왜란 참전 등은 모두 순 망치한의 지전략적 특징 때문이다. 한명기,『임진왜란과 한중관계』(서울 : 역사비평사, 1999), p.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