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3page

. 군 사 사 / 기 타 군사연구 제128집 217 2) 무기체계측면의 전략적 평가 연(嚥)과 고조선의 관계에서 힘의 불균형은 근본적으로 고조선의 청동기문 화에 대한 연의 철기문화 우위성이라고 할 수 있다. 고조선은 중국의 전국시대에 성능이 우수한 철제무기가 등장하게 되자 이에 자극을 받아 신속히 철기제조기술 을 수용하였으나 부분적으로 철제를 도입함으로써 21) 철제가 주종은 아니었고 아 직은 청동기문화 단계에 머물러 있었다. 당시 고조선에서는 말이나 마차를 타고 철제 검ㆍ창 등 새로운 무기를 사용한 것은 지배계급이었고, 나머지 대부분은 청 동제 무기를 사용하고 있었던 것이다. 22) 반면에 연은 철제무기가 주종이었다. 또 한 이 무렵 연의 군사력은 이미 60여 만 명 수준을 돌파하고 있었고, 그 전투 능 력도 북방 유목민족들의 기마전술 도입은 물론 살상효과가 높은 철제무기와 운제 ㆍ충차와 같은 공성 및 수성무기의 개발과 함께 보ㆍ기 통합 전술을 구사하는 단 계에 이르렀기 때문에 고조선이 천연 지형지물을 이용하더라도 연군을 저지하기 에는 전력면에서 크게 역부족이었다. 이처럼 철기문화를 배경으로 한 무력집단이 청동기문화의 단계를 벗어나지 못 하고 있던 고조선 사회를 정복하기가 그리 어렵지 않았을 것이라는 점은 역사 발 전 단계에서도 충분히 추정할 수 있는 사항이다. 23) 결국 고조선은 힘의 열세를 전략적인 후퇴로 조정하면서 완충지역을 설정하여 양국 간의 정면충돌을 피하였고, 철기문화가 발달하는 단계에 들어와서 비로소 기존의 영토를 회복할 수 있었던 것이다. 나. 고조선과 한(漢)의 전쟁 1) 전쟁의 경과 기원전 119년 흉노족을 오늘날의 외몽고 고비사막 이북지역으로 축출하는 성과를 거두고 중국대륙을 통일한 한(漢)은 흉노족에 대한 작전을 종료한 직후인 기원전 110년부터 전쟁을 준비하여 기원전 109년에 육로군 5만 명과 수로군 7천 명으로 편성하여 고조선을 침공하였다. 21) 군사편찬연구소,「한민족전쟁통사」제1집(서울 ; 국방부, 1994), p.17. 22) 군사편찬연구소, 전게서, 2006, p.45. 23) 군사편찬연구소, 상게서, 1994, pp.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