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page

. 군 사 사 / 기 타 군사연구 제128집 201 동양평화론 형성에 일정한 영향을 미쳤다. 그는 일제의 침략을 목도하면서 다양 한 독립운동 방략을 모색하지 않을 수 없었다. 계몽운동․의병전쟁․의열투쟁 등 다양한 활동영역은 이러한 사실을 잘 보여준다. 동양평화론 을 집필한 주요한 배경은 하얼빈의거의 정당성을 강조하기 위함 이었다. 그는 결코 개인적인 차원에서 이등박문을 포살한 행위가 아니라 의병참 모중장으로서 독립전쟁 일환임을 밝혔다. 신문과정에서 만국공법과 국제공법에 의한 포로로서 공판 진행을 요청한 사실은 이를 반증한다. 이등박문 포살은 그가 한국 침략과 동양평화의 교란자이기에 실행하였다는 논리였다. 15개조에 달하는 죄상은 이를 반증한다. 동양평화론 체제는 「서언」․「전감」․「현상」․「복선」․「문답」등 5부분으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일제의 위약으로 「서언」전체와 「전감」일부만이 저술된 채 미완성으로 끝나고 말았다. 저들은 일제의 침략상이 만천하에 폭로되는 것을 우 려하여 형집행 연기라는 약속을 어기고 곧바로 사형집행을 단행하였기 때문이다. 그런 만큼 그가 구상한 동양평화론 의 구체적이고 정확한 내용은 파악할 수 없 다. 「서언」은 동양평화론을 집필한 목적과 집필 배경 등을 언급하였다. 「전감」은 일제의 침략전쟁에 따른 동양평화가 유지되지 못하는 원인을 서술했 다. 청일전쟁에서 러일전쟁까지 국제정세를 소개하는 가운데 청일전쟁에서 청나 라가 패배한 이유를 ‘중화대국’이라는 교만과 권신척족 천롱(擅弄)에서 찾았다. 반 면 러일전쟁에서 일본이 승리할 수 있었던 원인은 한국과 청나라가 일본을 도왔 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58) 「청취서」는 그의 현실인식과 동양평화를 위한 다양한 방법론을 보여준다. 동 양3국간 상호 신뢰에 바탕을 둔 인식론은 시대를 앞선 선각자로서 면모를 엿볼 수 있다. 삼국공영론이나 삼국동맹론 차원을 넘어 ‘진정한’ 동양평화를 제시한 사 실은 우리가 주목해야할 부분이다. 인종주의에 부합하는 일본맹주론에 입각한 부 분은 한계로서 지적될 수 있다. 이는 그의 국권회복을 위한 방략 중 하나로서 국 제정세에 대한 낙관적인 인식과 무관하지 않다. 동양평화론 의 현실적인 의미는 동지로서 하얼빈의거를 도운 이강의 다음과 같은 글을 인용하면서 마무리하고자 한다. “선생은 이와 같은 대의를 추호의 사 심(私心)도 없이 자기의 생명을 초개시(草芥視)하고 모든 명리(名利)를 초월하여 58) 윤병석 편역, 「동양평화론」, 안중근전기전집 , 국가보훈처, 195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