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page

. 안중근의 동양평화론과 그 의미 200 군사연구 제128집 셋째, 안중근은 러일전쟁이야말로 서양세력의 동양침략에서 비롯된 전쟁이라고 인식하였다. 특히 러일전쟁은 서양세력이 동양에 침투한 것이지만, 일제는 “동양 의 평화를 유지하고 한국 독립을 공고히 할 것” 54)이라는 선전명분을 내세워 승리 하였음에도 스스로 명분과 약속을 저버린 배신자라고 규정했다. 그는 “일제가 정 미7조약을 체결하여 침략성을 드러낼 때부터 반대하지 않으면 안 되겠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고 회고하였다. 55) 이후 국권수호를 위한 의병투쟁은 이러한 인식 변화에서 비롯되었다. 넷째, 일제의 한국침탈과 대륙진출이 동양평화를 파괴하는 직접적인 원인이라 고 지적했다. 한국의 국권을 회복시키고 만주에 대한 침략정책 포기만이 평화를 유지하는 첩경임을 밝혔다. 동양3국은 서로 동맹하여 세계로 진출해야만 동양평 화는 물론 세계평화를 실현시킬 수 있다 56)는 사실을 강조했다. 진정한 동양평화 는 인류평화에 기여하는 지름길임 거듭 밝혔다. 이처럼 안중근은 동양 삼국의 진정한 평화를 바라는 마음에서 동양평화론 을 집필하였다. 일제는 서둘러 사형을 집행함으로써 동양평화를 위한 논지를 막아버 렸다. 하지만 서론과 전감에 나타난 논리만으로도 자신의 독자적 사상체계를 세 우고, 이를 실천하려고 노력한 활동가임을 엿볼 수 있다. 안중근의 이등박문 포살 은 일제의 배신적 행위에 일격을 가함으로써 그들의 침략정책을 일시적이나마 저 지시킬 수 있었다. 한국의 독립과 동양평화를 이룩하려는 구국적인 행위는 100년 지난 오늘날에도 여전히 역사적인 의미를 지닌다. 57) IV. 맺 음 말 동양평화론 은 한국 독립과 동양평화 유지를 위한 구체적인 실천방안이었다. 이는 일제의 대륙침략과 러시아 남하정책이 추진되는 긴장 관계 속에서 파생되었 다. 당시 풍미한 삼국공영론(三國共榮論)이나 삼국동맹론(三國同盟論) 등은 그의 54) 신용하, 「안중근의 사상과 국권회복」, 한국사학 2, 352쪽. 55) 국사편찬위원회, 「境警視의 訊問에 대한 安重根의 供述(第3回, 1909년 11월 29일조)」, 한 국독립운동사자료 7, 405쪽. 56) 국사편찬위원회, 「第3回公判始末書(1910년 2월 9일조)」, 한국독립운동사자료 6, 386~ 387쪽. 57) 윤경로, 「안중근 의거와 <동양평화론>의 현대사적 의의」, 안중근 의거의 국제적 영향 (발표문) ,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9, 169~170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