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page

. 안중근의 동양평화론과 그 의미 194 군사연구 제128집 이는 국권회복을 통한 한국 독립에만 그치지 않고 동양평화를 이룩하려는 확신 에서 비롯되었다. 하얼빈의거에 대한 역사적인 의의는 바로 여기에서 엿볼 수 있 다. 이는 모순된 굴레로부터 ‘진정한’ 인간해방을 위한 보편적인 가치관을 실현하 려는 의지와 무관하지 않다. III. 주요 내용과 현실인식 안중근이 동양평화론 을 저술한 주요한 배경은 하얼빈의거의 정당성과 항구적 인 동양평화를 위한 대안을 모색하는 데 있었다. 즉 동양3국의 상호공존을 위한 번영책과 동북아시아의 항구적인 평화질서 구축이 주요한 취지였다. 이는 러시아 남하정책과 일제의 대륙진출정책의 충돌로 긴장된 국제질서를 평화공존체제로 유 지하려는 의도에서 비롯되었다. 안중근은 여순감옥에서 1909년 12월 13일에 자서전인 안응칠역사(安應七歷 史) 를 쓰기 시작하여 이듬해 3월 15일 탈고하였다. 자서전을 마감한 전후부터 동양평화론 을 집필하기 시작했다. 구체적으로 집필을 시작한 정확한 시점은 알 수 없다. 다만 평석(平石) 고등법원장과 면담을 통하여 적어도 1910년 2월 17일 이전부터 시작되었음을 엿볼 수 있다. 나는 지금 옥중에서 동양정책( 동양평화론 -필자주)과 전기( 안응칠역사 -필 자주)를 쓰고 있는데, 이것을 완성하고 있다. 또한 나의 사형은 홍신부(洪錫九)가 나를 만나기 위해 오게 되었다고 하나 그를 만날 기회를 얻은 뒤 내가 믿는 천주 교의 기념스러운 날 즉 3월 25일에 집행해주기 바란다. 33) 이는 그의 강렬한 의지와 달리 미완성으로 끝나고 말았다. 일제는 그의 형집 행 연기 요청을 무시하고 1910년 3월 26일 사형집행을 단행하였기 때문이다. 34) 사형집행을 앞둔 절박한 상황에서도 그는 동양평화론 집필에 박차를 가하여 3 월 18일경 「서언(序言)」을 완성하였다. 이후 「전감(前鑑)」도 일부 집필하다가 중 단되었다. 그가 구상한 동양평화론 체제는 「서언」․「전감」․「현상(現狀)」․「복선(伏線)」․ 33) 국가보훈처, 「殺人犯被告人安重根聽取書」, 아주제일의협 안중근 , 633쪽. 34) 윤병석, 「해제」, 안중근전기전집 , 국가보훈처, 1999, 3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