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3page

. 군 사 사 / 기 타 군사연구 제128집 187 신음하고 있던 약소민족과 국제적인 연대를 도모하는 밑거름이었다. 5) 의열투쟁의 민족해방운동사상 의의는 바로 여기에서 찾을 수 있다. 안중근의거(일명 하얼빈의거-필자 주)와 관련된 대부분 연구는 동양평화론(東 洋平和論) 을 언급할 정도로 그의 사상 이해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6) 일부 연구자는 ‘동양평화론’의 선구적인 주창자로서 안중근을 부각시켰다. 이러한 주장 중 상당 부문은 나름대로 논리성을 갖고 있지만, 반면에 사실과 부합되지 않는 점 등도 적지 않다. 그의 대외인식 변화시점이나 국가정체론 문제는 아직까지 연 구자들 사이에 의견이 크게 상충되는 관점 중 하나이다. 당시 복잡하게 엉켜있던 상황 전개가 이러한 해석을 가능하게 만든 요인이었다. 그의 대외인식 변화 과정 및 ‘결정적인’ 계기나 국가정체론 등은 주요한 쟁점 중 하나이다. 특히 국가정체론으로 언급되는 입헌군주론, 입헌공화제, 민주공화제 등은 대표적인 경우임에 틀림없다. 7) 물론 이는 결론을 쉽게 도출할 수 있는 ‘단순한’ 사 안은 결코 아니다. 궁극적인 요인은 대외인식이나 국가정체론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자료가 매우 희소하기 때문이다. 현존하는 사료 중 이와 관련된 대부분은 하얼빈의거 이후 법정투쟁 과정에서 정리 및 서술한 기록만이 유일하다. 그런 만큼 사료에 대한 재해석은 비판적인 검토와 아울러 신중한 접근을 요구한다. 5) 신한민보 1910년 1월 19일 「기서, 안응칠」, 2월 9일 「기서, 나라독립은 국민합심에 잇, 한원셩」․「안의사 변호사건」, 1919년 5월 10일 「르쓰로부터 오난 깃분소식」: 한상도, 「조 선의용대의 국제연대 의식과 대만의용대」, 한국근현대사연구 11, 한국근현대사학회, 1999, 123~129쪽. 6) 연구 현황에 대한 대표적인 연구사 정리는 다음을 참조하라. 조광, 「안중근 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국근현대사연구 12, 한국근현대사연구회, 2000 : 신운용, 「참고문헌」, 안중근의 민족운동 연구 , 한국외국어대박사학위논문, 2007. 7) 김현철, 「20세기초 한국인의 대외관과 안중근의 동양평화론」, 안중근과 그 시대 , 경인문 화사, 2009, 442쪽. 안중근 대외인식이나 정체론은 다음을 참조하라(신용하, 「안중근의 사 상과 국권회복」, 한국사학 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 : 홍순호, 「안중근의 국제사상과 동양평화론」, 이화여대사회과학논집 13, 이화여대, 1993 : 최서면, 「일본의 한국병합과 안중근의 동양평화론」, 21세기와 동양평화론 , 국가보훈처․광복회, 1996 : 김호일, 「안중 근 의사의 <동양평화론>」, 한국근현대이행기 민족운동 , 신서원, 2000 : 김흥수, 「안중근 의 생애와 동양평화론」, 논문집 46, 공군사관학교, 2000 : 최기영, 「안중근의 ‘동양평화 론’」, 한국근대계몽사상연구 , 일조각, 2003 : 현광호, 「안중근의 동양평화론과 그 성격」, 아세아연구 46-3,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2003 : 한상권, 「안중근의 국권회복운동과 정치사상」,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1,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3 : 윤병석, 「안중근 의사 의 하얼빈 의거와 ‘동양평화론’(1)․(2)」, 순국 166․167, 순국선열유족회, 2004 : 한상권, 「안중근의 하얼빈거사와 공판 투쟁(1)」, 역사와 현실 54, 한국역사연구회,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