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9page

. 베트남전쟁시 케산전투 및 안케고개전투 교훈 152 군사연구 제128집 까지 넘박전투를 개시했다. 이어 1월 21일, 북베트남군은 9번 국도에 구축되어 있 는 미군의 방어선에 대한 전면적인 공격을 개시했다. 그 핵심지역은 케산, 흐응호 아로 북베트남군은 흐응호아, 랑버이 군청사를 소탕하고 따건 지역을 압박했다. 뒤이어 구정공세 즉 뗏공세를 개시했다. 1월 30일 밤과 31일 낮, 즉 무신년 구정 하루 전날, 남베트남 전장 전역에서 일괄공격을 개시하였고 5~6개 도시, 44개 군 중 37개 군 및 수백 개의 군구, 본거지, 창고, 지휘소에 대한 전면적인 공격을 단 행했다. 따라서 케산전투는 북베트남군의 구정공세 일환으로 미군의 주력을 케산으로 전환하기 위한 양동작전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북베트남군의 기도를 인지한 웨스 트모얼랜드 장군은 많은 반대에도 불구하고 케산에서의 전투를 결심하게 된다. 1954년 프랑스가 패배한 디엔 비엔푸와 조건이 유사하였으나, 웨스트모어랜드 장 군은 지형, 공군력, 공수보급능력, 헬기, 철수로 등을 고려하였다. 따라서 통합 화 력운용으로 수적 우세한 병력으로 포위한 적에 대해 승리를 확신하고 전투에 임 하게 되었다. 그는 케산의 전략적 중요성을 다음과 같이 역설하였다. “케산은 9번 도로를 따라 라오스로부터 침투해 오는 적군을 저지하는 정찰기 지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라오스 내에 공산군을 교란시키기 위한 대월미군 사령부 비정규전 연구 및 관측대의 작전기지로 안성맞춤이었고, 호지명통로를 감 시하는 정찰기들의 이착륙장으로도 적합했다. 나아가 비무장지대 남쪽 방위를 위 한 서부거점이 되어 호지명통로 차단을 겨냥하는 지상 작전의 전진기지로 이용 될 수 있으리라고 예상했다. 만약 미군이 케산에서 철수한다면 이 같은 이점들을 포기하는 셈이 되었다. 즉 케산으로부터 미군의 철수는 또한 전투가 해안 지대로 걸쳐 있는 인구 조밀한 쾅트리성으로 옮겨가는 것을 용인해야 하고 이 경우 적군 에게 해안을 따라 남쪽으로 진격하는 길을 열어 줄 수도 있는 것이다.” 6) 북베트남군의 케산공격 징후에 대한 대비로 미군은 ’67년 12월부터 ’68년 1월까 지 병력증강, 기지 주변 감제고지 점령, 화력증강, 첩보수집 수단 보강 등 전투준 비태세를 갖추게 된다. 병력은 해병 제26연대 3개 대대와 제9연대 1대대 등 3,500 여 명과 남베트남군 1개 유격대대 2,100여 명으로 총 5,600명으로 증강했다. 그리고 기지 주변 감제고지인 881고지(남), 861고지, 558고지, 950고지에 각각 중․소대 단위의 기지를 점령하였다. 화력은 포병 155밀리 곡사포 1개 대대를 포함 6) 월리암 C. 웨스트모어랜드,『왜 월남은 패망했는가』최종기 역, 광명출판사, 1976, p.3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