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6page

. 전 쟁 사 군사연구 제128집 139 또한 독일군은 기갑사단으로 만족하지 않고 기갑사단을 2∼3개씩 묶어 기갑군 단과 기갑군(Panzer Group)으로 편성하여 공격의 주력부대로 운용하였는 바, 이 와 같은 기동위주의 부대구조의 개편은 전격전 수행에 있어서 항공기와 함께 결 정적 성과를 달성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다. 화 력 주요작전의 수행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는 형태로 적용되었을 때 이를 작전적 수준의 화력으로 간주하며, 통상 화력계획 47)의 수립방법과 화력의 운용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효과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전술적 화력지원과 구별된다. 48) 작전기간 중 작전적 화력운용을 분석해 보면, 독일군은 초전에 제공권을 장악 하여 기동부대, 특히 기갑부대의 운용조건을 보장하였다. 전격전 개념에 의해 포 병 그리고 항공기가 적절히 통합 운용되어 기갑부대의 기동을 보장해주었다. 또 한 대부분의 화력을 주전장에서 돌파구 형성과 아울러 작전적 종심으로 용이하게 기동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는데 주안을 두었다. 당시 프랑스군은 제2군과 제9 군의 정면에 총 250소티 정도만 지원한 반면, 독일군은 300대의 중장거리 폭격기, 200대의 급강하 폭격기(Stuka), 200여대의 전투기의 지원을 받았다. 49) 5월 13일 07:00부터 중장거리 폭격기가 폭탄세례를 퍼부었고 12:00부터는 120대 의 급강하 폭격기가 세당 정면에 500파운드 폭탄 240여 발을 3시간동안 계속 투 하함으로써 대안상의 프랑스군은 효과적인 방어임무를 수행하지 못한 채 독일군 의 도하 및 돌파구를 허용하고 말았다. 50) 그리고 롬멜의 기갑부대 역시 뮤즈강 도하 후 해안으로 진격 시 포병과 급강하 폭격기의 항공지원 하에 목표지역까지 돌진할 수 있었다. 일부의 항공기는 연합군의 주요시설을 파괴함으로써 연합군의 지휘체계를 마비 47) 전술적 화력계획은 통상 하급제대에서의 요구를 종합하여 상급제대에서 수립, 실시하는 상향식(Bottom-up)인데 반해, 작전술적 화력은 상급제대에서 목표와 표적을 지령하고 예 하제대가 그 임무를 수행하는 하향식(Top-down) 개념임. 48) 미 야전교범 100-6 『대부대 작전 ; Large Unit Operations』p.3-14에는 작전적 화력의 운용목적을 돌파구를 형성을 통한 작전적 종심으로의 기동 여건 조성, 전장 고립, 작전적 차원의 주요시설 파괴 등으로 기술함. 49) Archer. Jones, The Art of War in the western world, (Oxford univ. press. New York, 1987) p.529. 50) 앞의 책, p.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