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7page
97 알면 상식이 되는 우리 역사 명 칭 해 설 당상관 堂上官 조선왕조 때 문관은 정3품 통정대부 이상, 무관은 절충장군 이상, 종친은 봉순대부 이상의 품계를 가진 자로서 당상의 의자에 앉을 수 있는 사람이며 국정의 최고 의 결 집단으로 퇴직 후에도 별도의 특전이 많이 부여되었다. 대가 大加 • 고구려의 부족장 • 부여의 부족장 대각간 大角干 신라시대 때 17관등 위로 국가에 최고의 공로를 세운 공신에게 주어진 호칭 대간 臺諫 • 감찰 업무를 맡은 관리와 국왕에게 바른 소리를 하는 직책의 관리를 합해서 대간 이라 한다. 고려왕조에는 어사대와 중서문 하성낭사라는 직책이 있었다. • 조선왕조에는 사헌부와 사간원이 있었다. 언관(言官)이란 말로도 사용된다. 대감 大監 • 신라시대 때 병부와 시위부의 차관급 관리 • 조선왕조 때 정2품 이상의 현직자나 퇴직자 모두에게 높임말로 사용된 별칭 대관서 大官署 고려왕조 때 제사와 연회에 음식을 조달하던 관서 후기엔 선관서로 불리기도 했다. 대광 大匡 • 태봉(泰封)의 관계를 이어 고려왕조 무관의 최고 직위자에게 사용된 칭호 종1품 • 조선왕조 때 정1품 문관에게 내린 작호임 대국통 大國統 신라시대 때 승려의 직책으로는 최고의 직책. 모든 승려와 사찰을 통괄함 대군 大君 • 고려왕조 때 정1품 종친에게 내린 작호. • 조선왕조 때 국왕의 정비(적실)의 아들에게 내린 작호 비·빈에서 태어난 왕자는 ○○君이라 한다. 대나마 大奈痲 신라시대 때 17관등 중 제10관등. 일명 대나말(大奈末)·한나마(韓奈麻)라고도 한다. 대내상 大內相 발해시대 때 정당성(政堂省)의 관장하는 장관급 관직이며 지위는 선조성의 좌상과 우상의 위이며 휘하에는 좌사정(左司政)과 우사정(右司政)을 두었다. 대대로 大對盧 고구려시대 때 국정을 총괄하는 수상의 벼슬로 제1의 관직 선출직으로 임기는 3년임 대덕 大德 고려·조선왕조 때 승려로서 승과를 합격하여 10년 이상 수행을 하여 지혜와 덕망 이 높은 승려에게 주어진 품계 대도사 大都司 신라시대 때 사지 이상 나마 이하의 관등을 가진 자를 임명한다. 대일임전(大日任 典)의 장관 대도호부 大都護府 • 고려왕조 때 지방 행정관청으로 안서(해주), 안남(전주), 안동(경주), 안북(안주) 등 4개처에 두었다가 경주가 동경유수가된 후 안동(안동)으로 변경되었다. • 조선왕조 때 안동(안동), 강릉(강릉), 영흥(영흥), 영변(영변), 창원(창원)에 두었 다. 책임자는 부사(府使)로 정3품의 문관 대동법 大同法 조선왕조 때 세무 행정의 하나로 갖가지 공물로써 세금을 내던 것을 쌀로 통일하여 세금을 부과하던 세법제도 대등 大等 신라시대 때 신라 귀족회의의 구성원으로 신라를 구성한 부족장급 정치적 귀족회 의 주요 구성원 대령 大領 대한민국 각군의 연대장급 지휘관 일반직 3급과 동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