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page
- 71 - 가(四樑架)로 대들보를 두 개의 고주에 걸고 이 대들보주7 위에 판대공주5 을  놓아  종도리주6를  받치고  있다.  또  앞면의  평주와  고주  사이에는  퇴보 를 걸었다. 도리는 납도리주8이다. 처마는 홑처마이고 ㄷ자형 평면의 양측 에  합각을  만든  맞배지붕형이다.  특히,  건넌방  사이에  있는  함실아궁이부 엌 위에는 한층 지붕을 높인 작은 덧지붕(솟을지붕)이 있다.    사랑채의  구조도  안채와  비슷하여  화강석으로  마무리한  기단  위에  자연 석 초석을 놓고 방주를 세웠으나 전면 툇기둥은 두리기둥주9을 세웠다. 가 구는  4량가(四樑架)로  안채의  가구와  같다.  다만,  사랑채  앞에는  차양이  건축된  바  이의  지붕을  만들기  위하여  사랑채  앞에  따로  기둥을  세우고  이 기둥과 사랑채 기둥 사이에 보를 걸고, 그 위에 작은 기둥을 세워 차양 구조의 대들보를 얹고 대공을 세워 종도리를 받치게 하였다.    이  건물은  효종이  윤선도에게  내려준  경기도  수원에  있던  집을  1668년 (현종 9)에 이곳에 옮긴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