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page
Contents ■ 월간 『순국』에 게재된 글들의 내용은 발행처의 공식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 아울러 게재된 글을 전재코자 할 때는 발행처의 동의를 받아야 합니다. 2025년 7월호 (통권 제414호) Intro l 순국의 창 4 애국 시 · 어록비 순례 · 월남 이상재 선생 Column l 작은 소리 큰 울림 8 명사 칼럼 ➊ · 이재명 대통령의 G7 정상회의 참석과 정상외교 복원 김두식(전 콜롬비아대사, 순국선열유족회 부회장) 12 명사 칼럼 ➋ · 오늘날의 대한민국을 만들어준 한국인들: 우수함과 성실성 그리고 사명감이 그 원천이었다 김학준(단국대학교 석좌교수) 16 편집위원 칼럼 · 금성(金城)지구 전투: 정전협정 직전의 마지막 공세, 마지막 저지선 윤영미(월간 『순국』 편집위원) 순국 특별 초대석 22 만나고 싶었습니다 · 김신종 일송김동삼기념사업회 회장 순국 People | 아름다운 사람들 56 이달의 순국선열 · 박자혜 여사 · 이상재 선생 62 6월의 독립운동 · 광복회 조직 68 이달의 6·25 전쟁영웅 · 롤랑 가브릴로프 프랑스 육군 상사 70 여성독립운동가 열전 · 삼엄한 경계 뚫은 배화인의 나라사랑 “소은숙” 이윤옥(한일문화어울림연구소 소장) 박은식은 『한국독립운동지혈사』에서 “나라는 형체이고, 역사는 정신”이라 했고, 신채호는 역사란 “아(我)와 비아 (非我)의 투쟁”이라 규정하며 강력한 독립투쟁을 전개하 였다. 박은식·신채호·이상룡·계봉우, 이들은 모두 실천적 역사학자이면서 동시에 투철한 독립운동가이기도 했다. 이들은 지나간 역사 속의 한 인물이 아닌, 오늘날 우리가 되새겨야 할 삶의 표본이라 할 수 있다. Special Theme 광복 제80주년 기념 특집 ‘독립운동가들의 역사 인식과 독립운동’ 30 Theme ➊ 박은식의 역사 인식과 독립운동 김순석(한국국학진흥원 수석연구위원) 36 Theme ➋ 신채호의 한국사 인식과 민족해방운동 이호룡(전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한국민주주의연구소 소장) 44 Theme ➌ 석주 이상룡의 독립운동과 역사 인식 한준호(국립경국대학교 안동문화연구소 연구원) 50 Theme ➍ 계봉우의 한국사 저술과 독립운동 김대용(여주시사편찬위원회 상임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