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page

2025년6월30일 월요일 6 (제222호) 특 집 세종시연동면예양리20-33,박천붕(朴天鵬)은본관이밀양(密 陽)이며,자는익호(翼乎),호는규정( 뉼 亭)이다. 규정공(朴鉉) 后 공간공(恭簡公 : 朴楗)의 증손으로 1554년(조 선 명종 9) 충청도 연기현 두옥동(현재 세종시 연서면 월하리)에 서태어나조헌(趙憲:1544~1592)문하에서학문을익혔다. 27세가되던1571년(선조4)무과에장원급제하여정7품직한성 부 훈간원의 참군이 되었으나, 1587년(선조 20년) 스승인 조헌이 대궐문 밖에서 상소를 올리는 사건으로 선조의 노여움을 사서 관 직에서물러나낙향하자향리로돌아가후진양성에힘썼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 조헌이 의병을 모집하자, 박천붕은 그를보좌해종사관이되어8월청주성싸움에서선봉장으로적진 에뛰어들어왜병수십명을베고장렬하게순국하였다. 박천붕은 황희(黃喜)의 후손인 황달효(黃達孝)의 딸과 혼인하 여 원겸(元謙,1582~1637),인겸(仁謙,1584~1637),예겸(禮謙,158 6~1637), 의겸(義謙, 1591~1637) 네 아들을 두었는데 모두 어머니 의훌륭한가르침을받으며아버지의충정을마음에새기고자란4 형제는 1636년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아버지의 뜻을 이어 국난을 구하려고 나서서 백의종군하다가 충청병사 이의배(李義培)가 이 끄는부대에들어가서남한산성전투에참전하러북진하다1637년 죽산산성에서벌어진전투의선봉장으로최후까지싸우다가모두 순국하였다. 당시 연기현감 백대기(白大埼)가 제오충유허문(祭五忠遺墟 文)을지어5부자의충절을애도하였으며,1747년(영조23)에박천 붕은충근호성공신(忠謹扈聖功臣)을네 아들은선무원종공신(宣 武原從功臣)의관직과명정을받고정문이세워졌다. 이후 여러 차례 중수되었으며,지금도 2개의 중수기(重修記)가 남아있다. 1920년 일제가 독립운동가 최익현(崔益鉉)이박천붕과네 아들 의 충정을 기리며 지은 정려비음기(旌閭碑陰記)와 정려기(旌閭 記)를없애고정려도헐어버리려고하자후손들이현재의위치(예 양리산21번지)로옮겨지었다. 븮五忠閣(오충각)’이라는 현판이 걸려있고 내부 중앙에는 박천 붕,왼쪽에는원겸과의겸,오른쪽에는예겸과인겸의현판이있다. 충북 청주시 흥덕구 강내면 월탄2길 53-16,충정사는 조선 선조 31년(1598)에 임진왜란 때 선조를 몽진처(蒙塵處)인 의주까지 호 종(扈從)하고순직한공으로호종공신(扈從功臣)2등으로책록되 고 밀천군(密川君)에 봉해진 한성판윤(漢城判尹) 충정공(忠靖 公) 박숭원(朴崇元, 1532∼1592)의 위패를 모신 밀양박씨(密陽朴 氏)규정공파 산하의 4개 부조묘 중 하나인 사당이다.매년 음력 8 월 4일(考位)과 11월 6일(考位 전의이씨), 2월 25일( 삽 位 풍양조 씨)에향사하고있다. 지금의건물은1958년에중건하고1988년에중수한건물로정면 3간,측면2간겹처마맞배지붕의목조기와집이다.내부는통칸마 루방에3개의쌍문을달고앞마루를놓았으며븮충정묘(忠靖廟)븯라 는현판을달았고앞에삼문을세우고둘레에는담장을둘렀다. 규정공파 산하 35개 소파 중 하나인 충정공파의 파조인 박숭원 의 본관은 밀양,자는 상초(尙初),호는졸재(拙齋)로 규정공의 11 세손이며 아버지는 오정공(蘭), 조부는 밀성군(光榮), 증조는 존 성재(楣),고조는공효공(仲孫)이다. 1564년(명종 19)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권지정자 (承文院權知正字)가 되었고, 얼마 뒤 병조 좌랑을 거쳐 수찬(修 撰)·교리(校理)·동부승지 등을 역임하였다. 그 뒤 외직으로 나가 강원도 관찰사를 지내고, 다시 내직으로 돌아와 우부승지가 되었 다. 선조가“세상사람들이모두꾀로써살려고하는데숭원만은그 렇지 않다”고 말할 정도로 왕의 신임이 두터웠다.그 뒤 평안도 관 찰사,대사헌,충청도관찰사,도승지등을역임하였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왕을 호종하여 선조로부터 보검 (寶劍)이 하사되고 도승지를 거쳐 한성좌윤에 올랐다. 호성공신 (扈聖功臣)2등에 책록되었으며,좌찬성에추증되고밀천군(密川 君)에추봉되었다.시호는충정(忠靖)이다. 충북 청주시 흥덕구 수의동 산 36-2. 중화양씨(中和楊氏)는 내 섬시(內贍寺) 첨정(僉正) 양석견(楊石堅)의 무남독녀로 1463년 (세조8)에태어나규정공9세손박광영(朴光榮)과혼인하여슬하 에 아들 넷[조(藻),빈(섹 ),난(蘭),이(苡)]을두었으나남편이연 산군의 폭정에 충청도 목천으로 귀양을 가자 화병을 얻어 치료차 친정인청주도장골(현재청주시흥덕구수의동)로내려가요양했 으나 낫지 못하고 같은 해인 1504년(연산군 10)에 졸하여 친정 선 산인현위치에안장되었다. 이후 후사가 없는 친정아버지의 향화가 외손으로 이어져 봉사 함으로서 묘역 일대 토지의 소유권이 규정공 후 밀성군 후손 12명 공유로돼 있다가최근에밀성군 산하종중으로등기가 이전경료 되었다. 묘역에는 상단에 친정아버지 양석견과 손자인 충정공 숭원(崇 元), 도사공 형원(亨元), 증손자인 여산공 제현(齊賢), 지평공 우 현(友賢)이하여러후손들이계장되어있고세일사는음력10월8 일(중화양씨),10월11일(도사공형원,여산공제현,지평공우현), 10월12일(충정공숭원)에모시고있다. 이날은지평공파종친회(회장박홍래)에서파조인박우현이임 진왜란 때 의병으로 청주성 전투에서 전사한 기록을 적은 전적비 를 세우는 행사를 개최해 규정공파에서 박낙규 대종회장을 위시 해오릉보존회서울시본부장을겸임하고있는박성율총괄부회장 과 박수옥 문화담당 부회장,박상용 총무이사,박남수 개발이사가 참석했고, 문도공파 종친회에서 박종대 회장과 박노문 총무이사, 충정공파 종친회에서 박노건 회장과 박동규 부회장 등이, 오릉보 존회서울시본부에서박종우부회장,박화수감사,박광규감사,박 동규사무처장,박인규이사등이참석해축하해주었다. 충북청주시옥산면신촌길100,공효묘(恭孝廟)는단종1년(145 3) 계유정난 때 공을 세워 정난공신 1등에 책록되고 밀산군(密山 君)에봉해진좌참찬(左參贊)공효공(恭孝公)묵재(默齋)박중손 (朴仲孫,1412∼1466)의위패를봉안하기위하여당시청주목목천 현 서면 말원리 지금의 충남 천안시 목천면에 세웠던 것을 1771년 (영조47)5월12일에이곳으로옮겨세운밀양박씨규정공파의사 당이다.매년기일(忌日)에기신제를봉행하고있다. 지금의사당은1920년에중건하고1987년에보수한건물로정면 3간,측면2간겹처마맞배지붕의목조기와집으로내부는통칸마 루방에 분합문을 달고 앞 마루를 놓았으며 븮공효묘(恭孝廟)븯라는 현판을 달았고 마당 앞에 현각문이라는 현판을 걸은 일각대문을 세우고 담장을 쌓았다.그리고 사당앞에 븮경모제(敬慕齋)븯라는 재 실과서쪽아래에회의장과강당으로사용하는묵재관(默齋館)이 있다. 옥산면 신촌리 산 9-1, 박증영의 별명은 희인(希仁), 호는 눌재 (訥齋). 아버지 예조참의 박미(朴楣)와 어머니 진주강씨(晉州姜 氏 碩德의 딸) 슬하 6남 1녀 중 넷째 아들로 1464년(세조 10)에 한 양에서태어났다. 1483년(성종 14)식년문과에병과로급제하였으며,1486년 22세 의 나이로 사가독서(賜暇讀書)의 영예를 얻었다.그 뒤 예빈시 직 장(禮賓寺 直長)·홍문관 교리를 지냈다. 문장으로 당대에 이름을 떨쳤고,서법(書法)에 능하여 송설체(松雪體)에 특기가 있었다.1 488년예빈시직장으로있을때허종(許琮)을따라명나라사신규 봉(圭峰)·동월(董越)을의주의의순관(義順館)에서맞이하였다. 이때 동월이 그의 시문과 필법을 보고 감탄하였고,우아한 성품 과단정함을기려서‘희인(希仁)’이라이름하였다.명나라의부사 왕창(王敞)도 시에는 호연(浩然)의 기상이 있고, 글씨는 당나라 현종간의천보서법(天寶書法)을계승하였으며,원나라제일의서 예가인 조맹부(趙孟 뽈 )의 서체를 잘 쓴다고 놀라워하였다. 그는 강의(剛毅)·정직의 기질이 있었고, 매우 청렴하여 사람들이 존경 해마지않았다. 1493년(성종 24)에 29세로 졸하여 양주 마적치(현재 남양주시 호평동)에 장사지냈으나 2005년에 현재의 위치로 이장하였다. 청 주의 국계서원(菊溪書院)에 제향 되었다. 저서로는『눌재유고(訥 齋遺稿)』가있다. 신촌리의 같은 묘원에 있다. 문도공 박훈(朴薰)은 아버지 눌재 공 박증영과 현감을 지낸 박영달(朴英達)의 따님인 어머니 공인 죽산박씨(竹山朴氏)사이의2남중장남으로1484년(성종15)에태 어났다. 1504년(연산군 10)에 생원시에 급제하여 천거로 의영고 주부를 거쳐 보은현감에임명되어 외직으로 임금이어진신하를 곁에두 지 않고외직으로보낸 건잘못이라는여론에 따라사헌부 감찰로 내직에 임명되었고 사헌부 감찰과 공조 좌랑을 거쳐 사헌부 지평 에올랐다. 관직에있을때가는곳마다치적을올려명망이높았고,조정에 서는 나라의 인재로 여겼으나, 간신들의 질시(嫉視)로 심한 비방 을받았다.특히조광조와친해서큰일을의논하였고,청렴한관원 으로지냈다. 1519년(중종 14)에 현량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사헌부 장령, 사 간원 사간등을거쳐동부승지가되었으나이 해기묘사화가일어 나 조광조와 함께 화를 입어 성주에 유배되었다가 의주로 옮겼고 다시안악으로옮겼다.1533년(중종28)에14년간의유배생활에서 풀려나 향리인 청주로 돌아와 청원군 강외면 연제리에서 어머니 를 모시고 은거했는데 효성이 지극하여 어머니의 상을 치르다가 병을 얻어 1540년(중종 35)에 졸 하니 향년 57세였다.저서로 강수 유고(江 쑴 遺稿)2권2책이있다. 묘소는 아버지인 교리공 바로 아래에 있으며 매년 음력 10월 10 일에세일사를봉행하고있다. 청주신항서원(莘巷書院)과금 산덕산사에제향(祭享)되었다. 주부공 박혜(朴蕙)는 아버지 눌재공 박증영과 현감을 지낸 박 영달(朴英達)의 따님인 어머니 공인 죽산박씨(竹山朴氏) 사이 의2남중차남으로태어났다. 형인 문도공이 기묘사화에 피 화되어오랜유배생활을하는동 안 청주에서 홀로된 어머니를 모 시고살았다.주부공파의파조다. 묘소는아버지교리공의북쪽200m지점에있고매년음력10월 10일에세일사를봉행한다. 충북 청주시 옥산면 국사리 산 26-2,강감찬(姜邯贊)장군은 서 기 948년(고려 정종 3)에 태어난 고려 최고의 명장으로 귀주대첩 에서큰승리를하였다. 우리나라3대대첩은고구려을지문덕장군의살수대첩,고려강 감찬장군의귀주대첩,조선이순신장군의한산도대첩이었다. 강감찬 장군은 72세인 1019년 1월 엄동설한의 귀주대첩에서 불 과수만명의고려군으로거란소배압의10만대군을무찔렀다.고 려 현종은 황해도 금천 영파역까지 나가 개선하는 강감찬 장군을 마중했다. 이후 고려는 1231년 몽골의 침입 때까지 210년간 태평성대를 구 가하게된다. 전쟁 후 강감찬 장군은 현종으로부터 식읍을 하사받아 청주에 서 여생을 보내다가 서기 1031년(고려 현종 22)에 졸하여 수가 84 이다. 장군의 사후 592년 뒤인 1623년 인조반정으로 조선제16대 왕에 등극한인조는1636년병자호란에서청나라에굴욕적인화친을맺 고소현세자와봉림대군(효종)을인질로보내게된다. 1637년 작성된 항복문서에는 '인조에게 뜻하지 않는 일이 생기 면청태조는인질로간소현세자를왕으로세운다'라고되어있었 다고한다. 그렇지 않아도 질투의 화신이었던 인조는 그로 인해 더욱 맏아 들소현세자를질투하였는데1645년귀국한소현세자가의문의독 살을당하고,세자빈강빈도1646년인조의후궁소용조씨주도로 사약을 받아 죽었으며 이 사건으로 우의정이었던 강빈의 아버지 강덕기도사사되었다. 강덕기는 강감찬 장군의 17대손이었는데, 멸문지화의 화를 입 게 된 강감찬 장군의 후손들은 그때부터 장군의 묘소를 관리하지 않고방치하여실전하게된것이다. 실전됐던 강감찬 장군의 묘를 찾게 된 발단은 박정희 대통령이 었다. 박 대통령이 현충원 참배에 동행한 역사학자에게 강감찬 장군 의묘를찾으라고하였다한다. 1963년그의후손들이묘소에서강감찬(姜邯贊)이라쓰여진묘 지석을 찾았고, 1964년 충북 교육청 학무과장이 분묘하여 장군의 묘로확인하였다고한다. 1967년에묘소에비석을세워망각의어둠을걷어내고서단절되 었던추모를이어가고있다. 오랜시간묘를관리하지않은후손들에게화를낼리없는장군 이지만 애석하게도 묘지석과 발굴기록이 다 소실되어 묘소는 그 자리에있는데,실증할수없다하여아직문화재로도지정되지않 고 있다. 귀주대첩에서 부원수로 참전한 강민첨 장군의 묘는 예산에 있 고 문화재로 지정된 것에 비하면 그 불공정에 아연실색할 따름이 다.청주시와국가는문화재지정을서둘러야마땅하다. 강감찬 장군의 묘 왼쪽 아래에 강감찬 장군 사적비와 충현사가 있는데 충현사는 고려의 문하시중 인헌공 강감찬 장군과 귀주대 첩때부원수였던강민첨장군의위패를봉안하고매년음력9월9 일에추계제향을봉행하고있다. 충남 천안시 동남구 수신면 속창리 산 11-1,경부고속도로 옆에 있는압구정(鴨鷗亭)한명회(韓明澮)묘소는단순한묘가아닌조 선시대 권력과 비극적 말로를 상징하는 특별한 장소로 신도비각 뒤에 묘소가 있고 옆에는 재실과 한명회의 업적을 기리는 사당인 충모사가 있는데 묘소는 거대한 돌로 둘러싸여 있어 생전에 그의 위세를보여준다. 1415년(태종 15)에 칠삭둥이로 청주에서 태어난 한명회는 조선 초기의 문신으로 계유정난을 주도하여 세조 즉위에 결정적인 역 할을 하였으며 단종 복위 운동을 분쇄하여 세조로부터 절대적인 신임을 받았고 영의정을 세 번이나 지내면서 무소불위의 권력을 휘둘렀으며 딸을 둘이나 왕비로 보내 예종과 성종의 장인이 되기 도 했으나 두 딸이 후사 없이 일찍 죽는 바람에 외손을 왕으로 만들 려는원대한욕망은좌절되고말았다. 상당부원군의작위를지닌채1487년(성종18)에73세의천수를 누리고졸하여이곳에장례를지냈다.그러나17년뒤인1504년(연 산군 10)에 일어난 갑자사화로 부관참시를 당하는 비극적 운명을 맞았다. 서울본부,충청지역선조유적탐방 가져 매년유적탐방으로숭조와애종함께일구어 1963년 9월 1일 창립, 1967년 7월 20일 회칙을 제정 하여지금에 이르는 동안 매년 선조유적탐방을 가 져온서울본부가이번에는지난5월12일충청지역 탐방에나섰다. 이번탐방에는세종시소재밀양박씨오충정려,청 주시흥덕구강내면의충정공부조묘,규정공9세손 눌재 박증영의부인 중화양씨 묘역,지평공전적비 수비행사참석,옥산면신촌리공효공부조묘,눌재 박증영묘,문도공박훈 묘,주부공박혜 묘,강감찬 묘,한명회모소등을찾았다. 특히 임진왜란에 청주성 전투에서 순절한 지평공 박우현선생의전적비를세우는행사에규정공파대 종회 박낙규 회장을 비롯한 임원진과 문도공파 종 친회 박종대 회장과 임원진 등이 함께하면서 유적 탐방의대미(大尾)를장식했다. 수도서울의종친조직인서울본부유적탐방은그의 미를 더해준다. 유적탐방을 통해 숭조를 실천하고 이와 함께 애종을 함께하고 있어 연례행사로 치러 지는 탐방에 더 많은 종친들의참여가 있기를 기대 해본다(문의010-5286-1263) 박성율회장은매년유적탐방에함께해준종원여러 분에게감사드린다고말하고항상강조하지만자기 계발을위한것으로생각하고,또자기문중에밴치 마킹 할 수 있었으면 한다며 유적탐방의의미를 부 여하고있어소개해본다. 충정공부조묘에서 지평공박우현선생전적비에서 밀양박씨오충정려 오충각에서 충정공부조묘 중화양씨묘역 지평공전적비수비행사참석 공효공부조묘 눌재공(訥齋公)박증영(朴增榮)묘 문도공(文度公)박훈(朴薰)묘 주부공(主簿公) 박혜(朴蕙)묘 강감찬 장군 묘소 한명회묘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