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1page
371page
대한민국 독립운동의 대부 보재 이상설선생(1870~1917)
선생은 1870년 12월 7일(음) 충북 진천군 진천읍 산척리 산직마을에서 태어났으며 어려서부터 매우 총명하여 신동으로 불렸다. 1894년(25세)에 조선의 마지막 과거인 갑오문과에 병과로 급젷 비서감, 성균관 관장, 의정부참찬 등을 역이맸고 영어.프랑스어 등의 외국어와 신학문을 공부했다. 특히 수학교과서 산순신서를 집필하여 한국 근대 수학교육의 아버지로 불릴 만큼 수학의 기초를 정립했다. 1904년 일제의 황무지 개척권 요구에 반대 투쟁을 선도하며 본격적인 항일독립운동을 시작한 선생은 1905년 일제가 을사늑약을 강제하자 늑양파기 상소를 올리는 등 저지운동을 벌이다 급기야 자결을 시도했다. 극내에서 국권회복운동이 어렵다고 판단한 선생은 1906년 4월 망명을 결행하고 상해와 블라디보스토크를 거쳐 북간도 용정에 도착해 8월 항일민족교육의 요람인 서진서숙을 세우고 문무교육과 구국운동을 통해 국외 독립운동 근거지 개척에 착수했다. 1907년 네들란드 헤이그에서 열린 만국평화회의에 정사로 임명된 이상설선생은 부사 이준,이위종고 특사로 파견돼 유럽을 순방하며 을사늑약의 부당함을 폭로하는 외교활동을 펼쳤다. 이에 일제는 1907년 8월 궐석재판을 열어 선생에게 사형을 선고했다. 선생은 1909년 미국에서 한인친목단체를 통합해 해외 한민족 독립운동의 중심 단체인 국민회를 출범시켰다. 그해 4월 블라디보스토크로 가는 가 한인 지도자를 규합하고 북만주 밀산부에 새로운 독립운동기지인 한흥동을 건설헤 국외독립운동을 선도했다. 1910년 월 블라디보스토크를 기점으로 국내외 의병세력 통합군단인 13도 의군을 편성하고 항제에게 피천상소를 올렸다. 8월에는 국치의 소식을 듣고 성명회를 조직해 합방의 부당성을 통박하는 성명회 선언서를 각국에 보냈다. 1911년 연해주 한인사회의 통합단체인 권업회를 조직하고 항일언돈 권업신문을 발행했다. 또하 1913년 북만주 나자구에 최초의 독립군 무관학교인 대전학교를 세웠다. 1914년 독립전쟁 결행을 위해 대한광복군정부를 세운 후 정통령에 선임되었고 1915년 중국에서 신한혁명당 조직에 참여해 분부장에 선임되었다. 1916년 독립운동에 진력하느라 건강을 돌보지 못해 선생은 지병으로 우수리스크에서 투병 중 1917년3월 31일 48세를 일기로 순국했다. 구국의 일념으로 국내외에서 활발한 독립운동을 펼치며 헌신한 선생의 생애는 오늘날 대한민국 독립운동의 대부로 자리매김되는 초석이 됐으니 여기 그 큰 이름과 빛나는 업적을 진천의 상징 서체인 생거진천체로 이 비에 깊이 새긴다.
과복80주년을 맞아 진천군민의 뜻을 모아 2025년 3월건립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