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6page
136 명 칭 해 설 진장 鎭將 고려왕조 때 각 진(鎭)에 배치된 책임장교로 7품 이상 관리 중에서 임명됨 진현관 進賢館 고려왕조 때 학문기관으로 대제학, 직제학 같은 학덕이 높은 고위 공직자를 두었 다. 조선왕조의 집현전과 같은 기관임 질정관 質正官 조선왕조 때 사신단의 일원으로 특별한 사안에 대한 문제 해결을 위해 파견한 외교 사절단 구성원의 하나 집사 執事 • 고려왕조 때 지방의 말단 관리 • 각종 행사시 주관자를 보좌하여 의식을 진행시키는 자를 말한다. 집순랑 執順郞 조선왕조 때 정6품의 종친에게 주던 관직의 품계 집의 執義 • 고려왕조 때 사헌부(司憲府)의 3품관 • 조선왕조 때 사헌부의 종3품관 백관을 감찰하고 규찰하는 등 검찰권을 행사하는 기관의 실무 책임자 집주 執奏 고려왕조 때 추밀원(樞密院) 소속의 관직 집현전 集賢殿 • 고려왕조 때 유학에 대한 학문 연구기관 • 조선왕조 때 학문 연구기관 세종 때 한글 창제 정3품인 부제학이하 실무자인 응 교, 교리, 수찬, 박사, 정자 등이 상근하며 고위직은 겸직함 징사랑 徵事郞 고려왕조 때 정8품하(下)의 문관 품계 찬독 贊讀 조선왕조 때 세손강서원에 속한 종6품의 관직 찬선 贊善 조선왕조 때 세자시강원에 속한 정3품의 관직 찬선대부 贊善大夫 고려왕조 때 동궁(東宮) 소속 정5품의 관직 찬성 贊成 조선왕조 때 정부의 종1품의 관직으로 좌찬성, 우찬성을 두고 있다. 찬성사 贊成事 고려왕조 때 문하부 소속의 정2품 관직 찬위 贊尉 조선왕조 때 국왕을 호위하던 주임관(奏任官)의 직명 찬의 贊儀 조선왕조 때 통례원(通禮院) 소속의 정5품 관직 찬의 贊議 대한제국 때 국내 고금의 서적과 신문, 잡지 등을 보관하기 위헤 설치한 박문원의 관직으로 칙임 대우 2명으로 구성됨 찰방 察訪 조선왕조 때 종5품으로 각역(驛) 소속 관리의 직명 참교 參校 조선왕조 때 승문원(承文院 = 외교문서 관리) 소속 종3품관. 조선왕조 말기에 갑오 개혁 후 군의 하급 장교 참군 參軍 조선왕조 때 한성부 훈련원의 정7품 관직. 서울 주변의 산과 성을 지키던 무관직 참리 參理 고려왕조 때 종2품직으로 참지정사(參知政事)의 다른 이름 참봉 參奉 조선왕조 때 각 관청에 소속된 최하위 문관 종9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