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9page
순국 역사기행 ➊ • 서울, 독립운동과 역사의 현장을 가다 ㉓ 109 기념탑이 있다. 지금은 계룡대에 있는 공군본부는 과거 33년 간 (1956~1989) 대방동에 있었다. 공군기념탑에는 역대 공군참 모총장 명단이 새겨진 동판도 있 다. 우리는 이를 통해 한국 공군 의 성립과정과 그 면모를 알 수 있다. 초대·3대 공군참모총장 김 정렬(1917~1992)과 5대 참모 총장 김창규(1920~2020)는 일 본 육사 출신으로 아시아-태평 양 전쟁에서 미군을 상대로 일 본군 항공부대를 이끌고 맹활약 한 인물이다. 반면, 2대 참모총 장 최용덕(1898~1969)은 한국광 복군 총사령부 참모장을 지낸 독 립운동가 출신이며, 6대 참모총 장 김신(1922~2016)은 백범 김 구의 둘째 아들로 대한민국임시 정부 내무부에서 활동했던 인물 이다. 특히 최용덕은 한국청년독 립단(1919)에서 활동하는가 하면 1920년에는 중국 허베이성 보정 항공학교에 입학하여 비행기조종 사의 길을 걸으면서 중국군에서 비행사로 활약하기도 했고, 한국 광복군에 참여한 이후에는 1943 년 대한민국임시정부 국무위원회 에 공군창설을 건의하는 등 공군 창설을 일찍부터 준비했던 인물 이기도 하다. 최용덕의 이러한 노 력은 해방 이후 한국항공건설협 회 초대 회장을 맡아 공군 창설의 기초를 놓는 것으로 이어졌다. 평양시절의 독립운동 역사를 보듬고 있는 숭의역사관 1903년 평양에서 미국 북장로 회가 건립한 미션스쿨 숭의여학 교로 출발한 숭의가 대방동에 자 리 잡은 것은 개교 100주년에 즈 음한 2003년이다. 숭의는 황애시덕(1892~1971) 과 김경희(1888~1919)가 주도한 송죽회(松竹會, 1913)로도 유명하 다. 송죽회는 숭의여학교 교사와 학생으로 이루어진 비밀결사조 직이었다. 송죽회 3대 회장 박현 숙(1896~1980)은 해방 이후에는 1938년 신사참배 거부로 폐교된 학교를 남산자락에 재건하는 일 을 주도했다. 교정에는 숭의 재건 의 역사를 상징하는 박현숙 흉상 이 설치되어 있다. 숭의여고에 있는 숭의역사관 에는 송죽회는 물론 최초의 여자 비행사 권기옥(1901~1988)과 일 ➐ ➐ 공군기념탐(대방공원) ➑ 역대공군참모총장 명단(공군기념탑 동판) ➒ 숭의역사관에 전시되어 있는 독립운동가 권기옥 관련 전시품 ➑ 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