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2page
102 2025년 7월 순국 Focus 역사의 시선으로 3월의 전설(116회) 평북 철산군의 독립만세 시위운동(3) - 평북 철산, 피로 물든 만세 함성 - 1919년 3월 5·7일, 4월 7일 대규모 3·1운동 전개 3월 5일 차련관에서 철산군 최초 독립만세시위 3월 7일 철산면 시위, 일본 경찰 발포로 사망 6명 중상 7명· 경상 49명 등 큰 피해 발생 글 이정은(월간 『순국』 편집위원, 대한민국역사문화원 원장) 3월 5일 참면 차련관 차련관(車輦館)은 경의선 철도역이 있는 교통 · 상업의 중심지로, 1919년 3 · 1운동 민족대표 이명룡도 이곳 출 신이었다. 철산군 최초의 독 립만세 시위가 이곳 차련관 에서 일어났다. 차련관 시장이 있는 참면 유정동 이발업자 이의현(李 義賢, 27세)은 당시 세계 정 세를 주시했다. 프랑스 파리 만국평화회의에 일본 천왕의 특사가 파견되고, 미국 윌슨 대통령이 민족자결주의를 강 조했다는 소식을 듣고 가슴 ➊ 철산군 지도(한국학중앙연구원 제공) ➋ 서울의 정석해가 철산의 유봉영에게 보낸 등사판 독립선언서와 봉투(독립기념관 소장) ➌ 3월 11일 차련관 만세시위를 보도한 『매일신보』 기사(1919년 3월) ➊ ➋ ➌